|
제2차 국방장관회담 마지막날인 29일, 남북은 오전 9시부터 실무대표 접촉을 통해 양측이 교환한 합의문 초안을 놓고 막판 조율을 진행중이다.
남북은 이날 오전 9시부터 10시45분까지 송전각 초대소에서 진행된 실무대표 접촉에서 공동어로수역 설정 문제를 제외한 대부분의 경협사업에 대한 군사적 보장조치에 대해 거의 합의를 이룬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문산-봉동간 화물열차 운행과 한강하구 개발, 해주항 직항로 통행, 서울-백두산 직항로 개설 등에 필요한 군사보장조치가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다만, 공동어로수역 설정 문제는 장성급회담 등을 통해 추후 협의하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아가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남북은 회담 첫날인 27일부터 공동어로수역 설정과 관련해 한치의 물러섬 없이 서로의 입장을 고수해 왔다.
우리 측은 북방한계선(NLL)을 기선으로 가급적 등면적으로 공동어로수역을 설정하자는 입장인 반면, 북측은 NLL 아래쪽을 평화수역으로 지정해 그 곳에 공동어로수역을 설정하자고 맞서왔다.
따라서 남북은 한 차례 실무대표 접촉을 더 가진 뒤 오후 1시께 종결회의를 열어 2박3일간의 회담을 마무리할 것으로 전해졌다.
남측 회담 관계자는 “북측도 이번 회담이 성과없이 끝나서는 안된다는 생각이기 때문에 막판 조율에 적극적”이라면서 “합의문이 극적으로 타결될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김장수 국방장관을 수석대표로 하는 30명의 남측 대표단은 이날 오후 3시께 전세기편으로 평양 순안공항을 이륙, 서해 직항로를 통해 귀환할 예정이었지만 회담 상황에 따라 일정이 지연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