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기록원에 보관된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등과 관련한 국회의 자료 열람이 15일 시작됐다. 여야는 10일간의 열람 절차를 거쳐 오는 7월말 회담록 원본 내용을 언론에 공개키로 했다.
새누리당과 민주당은 이날 오전 경기도 성남 국가기록원을 방문해 관련 자료 목록을 훑어보는 예비열람을 실시했다. 열람위원으로는 새누리당에선 황진하·김성찬·심윤조 의원 등을, 민주당은 박범계·전해철·박남춘 의원 등을 포진시켰다.
여야가 제출한 ‘NLL’과 NLL의 한글표기인 ‘북방한계선’, ‘남북정상회담’, ‘등거리·등면적’, ‘군사경계선’, ‘남북국방장관회담’, ‘장성급회담’ 등 7개 검색어를 토대로 국가기록원이 선별한 자료는 큰 여행용 가방 2개반 분량에 이르는 것으로 전해졌다.
열람위원들은 이 자료 가운데 열람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자료를 추릴 예정이고, 기록원이 이르면 이날 오후 해당 자료의 사본 2부씩을 국회에 제출할 예정이다. 노무현 전 대통령과 북한 김정일의 육성이 녹음된 음원파일은 훼손 우려 등을 고려해 열람위원들이 국가기록원에 가서 직접 듣기로 한 것으로 전해졌다.
국가기록원 방문에 앞서 여야 열람위원들은 이날 국회 운영위원장실에서 상견례를 갖고 기록원에 제출할 보안각서와 운영위가 요구한 보안서약에 서명했다. 열람 위원들은 평일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국회 운영위원회 소회의실에서 관련 자료를 열람하게 되며, 열람기간 동안에 운영위 소회의실에는 폐쇄회로TV(CCTV)와 자료 보관용 금고가 설치된다. 열람 위원들에게는 간단한 메모는 허용되지만, 휴대전화 등 전자기기는 소지할 수 없도록 정했다.
최경환 새누리당 원내대표는 상견례에서 “역사적 책임감을 갖고 열람에 임해달라”며 “여야 합의된 내용에 한해 운영위에 보고하는 사안 외에 자료 목록을 (밖에) 얘기하는 것도 안 된다”고 말했다. 민주당 전병헌 원내대표도 최고위원회의에서 “역사적 진실에 대한 무거운 책임과 사명감으로 임하겠다. 사마천의 심정으로 있는 그대로 기록을 확인하고 진실을 전하겠다”고 밝혔다.
여야의 열람으로 2007년 남북 정상회담의 대화내용이 공개되는 수순을 밟고 있으나, 이후 공개 범위 및 대화록 해석 등을 놓고 공방은 당분간 지속될 것이란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