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한의 동해안 지역을 연결하는 동해선 건설공사가 환경훼손을 유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남북교류와 환경보존 사이의 딜레마에 빠졌다.
27일 입수한 녹색연합의 ’동해선 난개발 실태보고서’에 따르면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문화관광부와 강원도가 공동으로 착공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남북관광교류타운으로 이 단지가 완공되면 민통선 내인 사천리가 환경 생태적으로 회복불가능한 상태에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이 지역은 사구와 사빈, 저습지와 염습지 등의 습지와 초지, 산림 등 다양한 형태의 서식처가 공존하고 있는 접경지역 유일의 생태적 공간으로 평가 받는다.
따라서 녹색연합을 비롯한 환경단체는 남북관광교류타운을 민통선 밖에 건설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정부는 교류타운을 민통선 안에 건설 중인 동해출입사무소(CIQ) 바로 옆에 건설한다는 계획을 강행할 태세여서 관광객들로 인한 개발과 훼손이 불가피해 보인다.
동해선 철도ㆍ도로 건설과정에서 군이 토취장 건설을 위해 통일전망대와 금강통문 사이에 위치한 현내면 명호리 명륜골 일대를 훼손한 것은 개발에 익숙한 군과 정부의 환경보존 불감증을 보여주고 있다.
이 지역은 백두대간 생태축과 동해안의 해양축이 교차하는 지점으로 야생동식물의 서식지로 중요하다는 점에서 훼손으로 인한 심각성을 더하고 있다.
서재철 녹색연합 자연생태국장은 “민통선 전 지역에서 토취장 같은 대규모 환경피해를 가져오는 사업은 지양돼야 한다”며 “불가피한 군사시설의 설치라고 하더라도 환경성 검토를 비롯한 환경저감 대책을 마련하는 조사와 진단, 복구와 복원이 전제된 가운데 사업이 진행돼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남북간 연결도로와 철도를 이용하기 위해 불가피한 동해 CIQ 건설 공사는 이미 현지 생태계 파괴를 보여주고 있다.
CIQ 건설지역 계곡에 서식하고 있던 포유류와 양서류, 파충류의 서식지는 거의 다 훼손되거나 파괴됐다.
서 국장은 “CIQ공사현장에서 벌어지는 대규모 생태계 파괴는 향후 비무장지대와 민통선 내에서 이어질 남북교류관련 시설 건설공사에 앞서 환경대책을 세워야 한다는 교훈을 준다”고 말했다.
그러나 동해선 건설공사는 환경 훼손에 대한 우려와 동시에 남북간 교류 활성화라는 대명제가 동시에 존재한다는 점에서 공사를 추진하는 정부나 군, 이를 감시하는 환경단체도 곤혹스런 대목이다.
서재철 국장은 “남북교류는 해야만 하고 이 과정에서 환경친화적으로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는 것”이라며 “장기적으로 환경을 우선시하는 남북관계가 우리 민족에게 더 많은 이득을 주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