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3일 평양에서 열린 남북정상회담에서 김정일이 노무현 대통령에게 한국인 납치 문제에 대해 “(그들이) 지원해서 북한으로 건너 온 것이고 우리들도 환영식을 통해 이들을 받아들였다”고 주장한 것으로 알려졌다.
노 대통령의 방북길에 동행한 문정인 연세대 교수는 8일 서울 주재 외신들과의 간담회에서 이같이 밝혔다고 일본 마이니치 신문이 보도했다. 신문은 문 교수가 남북정상회담에 동석하지는 않았지만 동석자를 통해 이 같은 발언을 전해들었다고 밝혔다.
김정일이 한국인 납북자 문제를 공개 언급한 것은 2002년 5월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가 방북했을 당시 6.25 전쟁 당시 행방불명된 군인의 생사를 확인하겠다는 입장에 이어 두 번째다. 그러나 김정일의 ‘공동 노력’ 발언 이후에도 전시 납북자 문제가 해결된 것은 한 건도 없다.
또한 김정일이 ‘전후 납북자는 자진월북만 있을 뿐 납북은 없다’는 논리를 재차 강조함으로서 당분간 전후 납북자 문제의 해결 가능성을 배제시켰다.
일본 언론들은 문 교수가 “노 대통령이 후쿠다 야스오 총리의 메시지를 전달하며 ‘일본인 납치 문제’라는 직접적인 표현을 사용해 이 문제의 해결을 제기했다”며 “이에 대해 김정일은 해결된 문제라면서 대화에 응하지 않았다” 말했다고 같은날 일제히 전했다.
이어 “북일관계의 개선이 남북 경제 협력에 도움이 된다”는 노 대통령의 지적에는 김정일도 동의한다는 뜻을 보였다고 한다.
일본 정부는 북한에 의한 일본인 납치 피해자를 17명으로 발표했지만, 북한은 2002년 북일 정상회담에서 “8명 사망, 5명 생존, 2명 미입국”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일본이 최근 납치 피해자 명단에 추가한 2명에 대해서는 납치한 사실이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김정일이 일본인 납치문제에 대해 공식적인 장소에서 직접 언급한 것은 2004년 5월 북일 정상회담이래 처음이다. 또한 김정일 스스로가 납치문제가 모두 해결됐다는 입장을 밝힘으로써 일본인 납치 문제는 한국인 납북문제와 함께 진전이 더욱 불투명한 상황이 됐다.
한편, 일본 정부는 9일 대북 경제제재 조치를 재차 6개월 연장하는 안을 정식 승인했다고 교도 통신이 보도했다.
통신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이날 오전 각료회의를 소집해 지난해 북한의 핵실험 후 실시된 경제제재를 지난 4월에 이어 다시 6개월 연장시키기로 결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