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일 유고시 北집단지도 체제 불가능”

김정일의 ‘건강이상설’ 확산으로 북한의 후계구도가 주목받고 있는 가운데 김정일 유고시 북한에서 집단지도체제가 들어서도 그 통치력을 유지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현성일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책임연구위원은 29일 인천대학교 평화통일연구소가 주최한 ‘포스트 김정일 체제: 쟁점과 전망’에서 “(김정일 유고시) 권력층에서 집단지도체제를 지향한다고 해도 북한사회에 대한 통치력과 장악력은 급속히 약화·붕괴될 것”이라고 밝혔다.

현 책임연구위원은 이어 “집단지도를 담당할 노동당 정치국과 국방위원회는 김정일 사후 통치력을 지속하기 어려우며, 김정일의 생전 정책결정기구 역할을 했던 측근정치가 가동될 가능성도 제도적으로 부재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후계문제는 오직 김정일의 결심에 의해 좌우될 문제”라며 “와병중인 김정일에게 후계문제를 건의할 경우 초래될 결과로 인해 그 누구도 선뜻 나서려 하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러면서도 현 책임연구위원은 후계문제가 해결되지 않은 상황에서 김정일의 유고가 발생할 경우에는 “측근을 중심으로 3대 세습을 추진할 가능성이 크다”며 “측근들은 아들 중 한명을 후계자로 옹위, 그를 중심으로 혼란을 방지하고 기득권을 유지하려고 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반면 정성장 세종연구소 연구위원은 “지도부내 권력투쟁에 의해 차기 지도자가 결정될 수밖에 없다”면서 “이 경우 노동당 내에서 군대의 지지를 확보하는 인물이 지도자로 부상할 것”이라며 리제강과 리용철 당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을 후보로 꼽았다.

정 연구위원은 유력 후보로 거론되는 장성택 부장은 군대의 지도권을 쥐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고 덧붙였다.

더불어 그는 김정일이 완전 회복할 경우에도 “김정일은 2∼3년 내에 후계자를 결정하게 될 가능성이 있고 후계자로는 차남 정철이나 삼남 정운이 유력하다”고 말했다.

정 연구위원은 김정일이 부분적인 장애를 겪을 경우, “향후 1∼2년 내에 제2인자 또는 후계자를 지명해 공동통치하는 시대가 개막될 것”이라며 “김정일은 정철이나 정운을 후계자로 내세우고 싶겠지만 너무 젊기 때문에 장성택 노동당 행정부장을 후계자로 지명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