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에서 민족 최대의 명절이라고 선전하는 김정일 생일(16일)을 앞두고 ‘충성의 외화벌이’ 운동을 벌이고 주민들에게 강제로 돈을 징수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각종 세외부담으로 인해 일부 주민들이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는 것이 소식통의 전언이다.
함경북도 소식통은 15일 데일리NK와의 통화에서 “광명성절(김정일 생일)이 임박해 오자 청진 시내의 공장, 기업소들, 온성군의 농장들에서까지 충성의 외화벌이 과제가 내려왔다”며 “당국이 조직적인 포치를 내리고 사람당 무조건 1만 원을 내라고 몰아세우고 있다”고 전했다.
충성의 외화벌이는 1972년 김정일이 김일성 생일을 맞아 각 기관과 주민들에게 외화벌이 물품을 헌납할 것을 강요한 사회운동이다. 초기에는 금, 송이버섯, 동물 가죽 등 현물을 중심으로 상납을 강요했으나 최근에는 현금을 걷어가는 경우도 종종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에서 1만 원은 현재 시장물가로 환산하면 쌀 약 2kg을 살 수 있는 비용이다. 또한 약 1.2달러로 그리 높지 않은 금액이다. 때문에 장사활동으로 주머니가 돈독해진 주민들은 별 생각없이 내는 경우가 늘고 있다고 한다.
하지만 문제는 소득 수준이 높지 않은 주민들에게도 강제로 징수하고 있다는 점이다. 저소득층에서 불만의 목소리가 고조되고 있는 이유다.
소식통은 “개인 장사도 하지 않는 일부 기업소 노동자들에겐 만 원도 큰 돈이다”면서 “(당국이) 배급도 노임(월급)도 제대로 주지 않으면서 이들에게 돈을 갈취해가는 건 가혹한 행위”라고 지적했다.
심지어 이 과정에서 노동자에게 의견을 물어보지 않고 공장 당 위원회에서 일방적으로 월급에서 충성의 외화벌이 자금을 원천징수하기로 해, 주민들의 화(火)를 돋웠다.
그는 “공장 측은 도시락도 못 사 들고 다니는 노동자들에게 돈 1만 원을 부담시키면 언제까지 모일지 알 수 없어 간편하게 월급에서 잘랐다”면서 “대놓고 불만을 이야기하지는 않지만 이 때문에 속앓이 하는 노동자들도 많다고 한다”고 전했다.
특히 주민들에게 부여되는 세외부담이 이 항목에만 국한되지 않고 있다는 점도 문제다.
소식통은 “각종 건설과제에다 선거장 꾸리기 비용 등 매일 당국이 빨아가는(징수하는) 돈에 어려움에 부닥치고 있다”며 “요즘 여러 행사와 선거가 겹치면서 감시와 언어통제에 부딪혀 수집과제들이 내려와도 아무 말도 못 하고 내는 형편이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 북한 당국은 삼지연 건설, 원산 갈마 해안 관광지구 건설 등 주요대상건설 사업에 부족한 자금을 주민들에게 부담시키고 있다.
여기에 김정일에 대한 충성심이 갈수록 약화되고 있다는 점도 불만 고조에 상당히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북한은 김정일 생일 분위기를 띄우기 위해 다양한 행사를 조직해 주민들을 동원하고 있지만, 주민들은 사이에서는 불만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는 것이다.
북한 당국이 작업반별 ‘충성의 노래모임’을 조직해 주민들을 동원하고 있으나 정작 주민들은 “낮에는 직장에서 일하고 저녁에 따로 모여 공연 연습을 시키면 도대체 언제 쉬냐”는 볼멘소리를 낸다고 소식통은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