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일 답방, 북핵문제 진전돼야”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은 27일 김정일(金正日) 북한 국방위원장의 답방 문제와 관련, “기본적인 정부의 태도는 포괄적으로 답방을 지속 촉구하는 입장에 있다”며 “그러나 실제로 실현되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는 생각 때문에 부담스럽게 재촉하지 않는 그런 수준에 있다”고 말했다.

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가진 중앙언론사 경제부장단 간담회에서 김 위원장의 답방에 대한 입장을 묻는 질문에 대해 이같이 말하고 “우리야 언제든지 환영이지만, 실제로 지금 북핵문제가 좀 더 진전돼야 되지 않겠느냐”고 밝혔다.

통일 문제와 관련, 노 대통령은 “그렇게 빠른 길로 통일이 이뤄지지도 않고, 또 그렇게 통일이라는 형태까지 너무 빨리 가는 것에 대해서도 바람직하지 않다”며 “시간을 두고 서서히 해 가지 않으면 여러 가지 정치적, 경제적으로나 사회 문화적인 측면에서 엄청난 충격이 생기고, 부담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쌍방을 위해서 천천히 가야 된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통일비용 개념에 대해 노 대통령은 “실질적 비용은 통일 이전에 다 들어가야 될 것이기 때문에 ’통일비용’이라고 이름을 쓰더라도 개념은 ’준비 비용’이라고 생각한다”며 “한편으로 우리 경제에 하나의 활로, 또 하나의 시장이 열린다고 할 수 있기 때문에 ’월남특수’ ’중동특수’라는 말을 써왔는데 그것보다 경우에 따라 볼륨이 더 클 수 있는 새로운 시장인만큼 ’북방투자’라고 인식하는 것이 사실에 맞을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노 대통령은 대북 경제 교류와 관련, “북한이 지금 제일 중요한 것은 에너지 인프라, 그 다음에 운송 물류 인프라, 다음에 통신 등이고 그것보다 더 화급한 것은 농업 기반”이라며 “생필품 같은 것은 앞으로 민간 차원의 거래로 이뤄지고, 큰 기간 산업, 인프라는 정부의 역할이 있다”고 밝혔다.

노 대통령은 이어 “적어도 남북경제를 통합하는 수준까지 간다고 하면 우리가 부담하는 것이 어느 수준이냐를 한번 검토해 볼 수 있다”며 “이런 기준으로 우리 경제에 큰 부담을 주지 않는 규모가 어느 정도가 될 것인지에 대해 수치들과 비교하고 준비해서 국민들한테 제시해야 한다고 국가안전보장회의 상임위에 지시를 해놓고 있다”고 말했다./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