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시대 첫 미북회담 베이징서 재개

김정은 체제 출범 이후 첫 미·북 대화가 23일 베이징에서 열렸다. 양측은 이번 회담에서 북한의 비핵화 사전조치와 대북 식량지원 문제를 집중 협의할 계획이다.


김계관 외무성 제1부상을 단장으로 하는 북한 대표단은 이날 오전 10시(이하 현지시간) 주중 북한대사관에서 글린 데이비스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가 이끄는 미국 대표단과 만나 제3차 고위급 회담을 시작했다.


이번 대화는 지난해 10월28일부터 이틀간 스위스 제네바에서 제2차 고위급 회담이 열린 이후 4개월 만이다.


데이비스 특별대표는 회담장으로 향하기에 앞서 현지숙소인 웨스틴호텔에서 취재진과 만나 “오늘은 ‘게임데이'”라고 밝혀 이번 회담의 핵심의제인 북한의 비핵화 사전조치와 대북 식량지원을 놓고 팽팽한 줄다리기가 있을 것임을 예고했다.


그는 전날 기자회견에서도 “모든 당사국들이 6자회담 재개를 원하지만 회담을 위한 회담은 안 하겠다는 게 우리 입장”이라며 “북한이 다음 단계로 나아갈 준비가 돼 있다는 사인을 원한다”고 말해 북한이 비핵화 사전조치와 관련한 진전된 입장을 바랐다.


그러나 북측 역시 미국의 대북 식량지원과 관련한 전향적인 입장을 먼저 확인하겠다는 입장이어서 회담성과 도출이 쉽지는 않을 전망이다.


실제 김 제1부상은 지난 21일 베이징 서우두(首都)공항에서 “이번 대화에 어떤 기대를 하고 있느냐”는 질문에 “우리는 기다릴 것”이라고 짧게 답했다. 회담 시작 전부터 양측의 팽팽한 신경전이 벌어진 것이다.


미측은 이번 회담에서 우라늄농축프로그램(UEP) 중단과 함께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찰단 복귀, 대량살상무기(WMD) 실험 모라토리엄 선언 등의 비핵화 사전조치를 북측에 요구할 방침이다.


북측은 30만t 규모의 곡물지원과 대북제재 해제 등을 요구하면서 미측으로부터 최대한 양보를 끌어내겠다는 전략인 것으로 알려졌다.


양측이 합의점을 찾지 못하면 상당기간 대화 모멘텀을 찾기 어려워질 것이라 게 대체적 분석이다. 다만 일정한 수준에서 의견 접근이 이루어지면 후속 대화를 통한 타결을 기대할 수 있다.


북측 대표단은 김 제1부상과 리근 외무성 미국국장, 최선희 부국장, 미측은 데이비스 특별대표와 클리포드 하트 6자회담 특사, 시드니 사일러 국가안보회의(NSC) 한국담당 보좌관 등으로 구성됐다.


이날 오전 회담이 끝나면 주중 미국대사관에서 오후 회담이 이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