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에서 김정은 체제가 등장한 이후 대남 공작을 총괄하는 정찰총국이 남한 내 정보수집 활동을 대폭 강화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찰총국 내부에서도 김정은의 신임을 얻기 위해 실적 경쟁을 벌이고 있다는 지적까지 나온다.
우리 공안 당국은 지난해부터 정찰 총국 요원 및 산하 무역회사 일꾼들이 해외 친북인사나 탈북자들에게 접근해 정보 활동을 적극적으로 벌이고 있는 정황을 포착했다. 정보 활동의 주요 거점은 정찰총국이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중국 내 무역기관들이다.
GPS 기술을 북한에 넘기려다 구속된 비전향장기수 출신 대북사업가처럼 해외서 북한 공작원에게 포섭된 인사가 국내에 들어와 정보 수집활동을 벌인 증거도 우리 방첩기관에 포착됐다고 안보 부서 당국자가 전했다.
이 당국자에 따르면, 정찰총국에 포섭된 인사들은 첨단 군사기술을 비롯해 통일부 등 정부 주요 부처 간부 연락처, 지하철 및 철도 비상시 대응 매뉴얼, 숫자로 명명되는 군부대의 명칭 등을 주로 파악하고 있다.
경찰청 보안부서 관계자는 “정찰총국 요원들은 무역업자로 위장해 중국 등지의 무역회사 직원 명함을 갖고 정보수집 활동을 벌인다”면서 “이들 요원들은 무기를 직접 구하려는 시도를 하기도 하지만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에 무기 제원이나 특징 등을 파악하는 수집 활동을 벌인다”고 밝혔다.
또 “문제는 이들에게 포섭된 다수의 친북인사나 대북 관련 일을 하는 사람들이 국내에 들어와 정보 수집활동을 벌이고 있는 점”이라며 “하지만 이들의 활동을 적발하기 쉽지 않을 뿐더러 무엇보다 이적성을 밝혀내 사법처리하는 것은 더욱 어렵다”고 덧붙였다.
안보부서 당국자도 “이와 관련해 현재 수사에 진행중에 있기 때문에 정확히 밝힐 수 없다”며 정찰총국의 국내 정보 수집활동 혐의가 포착됐음을 시사했다.
경찰 관계자는 “김정은 체제가 등장하면서 북한 대남 부서간의 충성경쟁을 벌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면서 “특히 김정일 생일(2월16일)이나 태양절(4월15)을 앞두고 실적을 내기 위해 대남 정보수집활동을 강화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찰총국 출신 한 탈북자도 “2009년 정찰총국으로 개편되면서 대남첩보도 상당히 강화되고 총국장의 계급이 중장에서 상장과 대장까지 가능한 직제로 개편됐다”면서 “이는 정찰총국장에 대한 김정은의 신임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러한 김정은의 신임을 보답하기 위해 말로만 하는 것이 아닌, 실질적인 실적으로 충성하기 위해 대남정보 수집 활동을 벌일 것”이라면서 “소위 김정은 신임을 얻기 위한 충성경쟁이 대남정보 수집활동 강화로 이어졌다고 보면 된다”고 설명했다.
이들의 포섭대상은 친북인사를 비롯해 탈북자, 조선족까지 포함된다. 최근 탈북자들이 이들에 포섭돼 적발되는 사례가 보도된 바 있어, 탈북자들의 이러한 포섭 활동에 경계심이 높아진 것으로 전해졌다.
탈북단체 관계자는 “과거에 탈북자들이 포섭돼 이러한 활동을 다수 벌인적 있지만 최근 탈북자 사회에선 정보 수집 관련 유사한 부탁을 받는 경우 이를 신고하거나 거절하기 때문에 포섭되는 경우가 많지는 않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