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무현 대통령의 “NLL은 영토선이 아니다”는 전날 발언에 대한 한나라당을 비롯한 보수단체의 비판여론이 들끓고 있다.
김용갑 한나라당 의원은 12일 당 홈페이지에 올린 글을 통해 “노 대통령이 NLL은 영토선이 아니라며 김정일 대변인 노릇을 하고 있다”며 “(노 대통령이)김일성 수령의 유훈통치에 홀린 것인지 김정일 함정에 빠진 것인지 정말 혼란스럽다”고 비판했다.
김 의원은 “대한민국 국민들에게 거침없이 쏘아붙이던 노 대통령의 배짱은 김정일 앞에만 서면 왜 한 없이 작아지는가”라며 “대통령이 이 정도 ‘깜’ 밖에 되지 않는가 기가 막힐 일”이라고 비꼬았다.
김 의원은 “노대통령은 3·4국이 참가하는 종전선언을 북한에서 넣어주어서 무슨 내용이지도 모르고 서명했다니 기가 찰 노릇”이라면서 “아리랑 공연 때 박수치지 않는 예행연습까지 해놓고 북측의 호감을 얻기 위해 박수를 쳤다니 정말 ‘놈현스럽다’”고 비판했다.
‘놈현스럽다’는 실망스럽다는 표현으로 한글날을 기념해 국립국어원이 누리꾼들이 많이 쓰는 신조어들을 모아서 펴낸 사전에 등록된 표현이다. 이를 두고 최근 논란이 인 바 있다.
한편, 보수단체들도 ‘NLL은 영토선이 아니다’는 노 대통령의 발언에 일제히 비판하고 나섰다.
바른정책포럼은 논평을 통해 “주권을 수호하고 국민의 생존권을 책임져야 할 대통령이 나라의 생명선인 군사분계선을 남북협상의 의제로 만들어가는 모습에 개탄을 금할 수 없다”며 “특정 정권이 이런 식으로 나라의 경계선을 허무는 것은 역사와 후세에 대한 반역”이라고 비난했다.
바른사회시민회의 전희경 정책실장은 “대통령이 직접 NLL을 분쟁의 도마 위에 올릴 필요가 있나 반문하고 싶다”며 “서해교전 당시 이를 지키기 위해 무고한 장병들의 희생을 매도하는 것은 오히려 대통령이 국민을 오도하는 것”이라고 비난했다.
재향군인회도 전날 보도자료에서 “대통령의 발언은 북한이 ‘NLL은 유엔군이 일방적으로 선언한 선이므로 인정할 수 없다’고 주장하는 것과 다를 바 없다”며 “NLL 관련 논의는 남북간 군사적 신뢰와 군축이 이뤄진 뒤 유엔사 등 관련측간 협의 하에 신중하게 다뤄야 할 국가 중대사안”이라고 우려를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