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 핵실험 발표 다음날 10일 국회 통일외교통상위원회 전체회의에 참석한 이종석 통일부 장관은 야당 의원들로부터 ‘정책실패’를 호되게 추궁당했다.
북한이 무더기 미사일을 발사한 지난 7월 이 장관을 ‘세작’에 비유해 논란을 일으켰던 한나라당 김용갑 의원이 먼저 이 장관에게 사과를 요구하고 나섰다.
김 의원은 “지난번에 세작 얘기를 했다고 장관이 섭섭하다고 했는데, 핵실험을 막지 못해 국민에게 고통을 준 것에 대해 석고대죄를 하고 시작해야지, 이게 뭐예요? 나 같으면 한강에 빠지겠어”라며 이 장관의 사과를 요구했다.
이 장관이 “국민들에게 송구스럽다고 말씀 드렸다”고 해명하자 김원웅 통외통위 위원장이 이 장관에게 보고를 계속할 것을 요청했다. 그러나 김 의원은 “우선 사과하고 보고하라”며 물러서지 않았다.
그러나 이 장관은 “평화번영 정책 전체가 문제되는 것은 아니며 대북 포용정책이 폐기되거나 전면 수정돼야 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맞받아쳤다.
위원장의 제지에도 불구하고 김 의원이 목소리를 높여 사과를 계속 요구했지만, 이 장관은 이내 말문을 닫으며 특유의 인상섞인 표정만 지었다.
한나라당 박진•진영 의원도 각각 “이 장관이 대북 정책의 실패를 먼저 인정하는 게 도리”, “북한이 핵실험하는 마당에 장관이 판에 박은 보고만 한다”며 김 의원을 거들었다.
여당 최성 의원도 통일부가 2장짜리 보고서를 제출한 것에 대해 “사태의 심각성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행태”라고 지적했다.
결국 이 장관은 “통일부 장관의 입장에서 우려할 만한 사태가 발생한 것에 대해 송구스럽게 생각한다”고 사과했다.
한편, 이 장관은 “핵실험으로 남북관계의 조정이 불가피한 상황이 됐기 때문에 우리가 추진해 왔던 정책의 일정한 변화가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그는 또 한나라당 박 진 의원이 “참여정부의 햇볕정책이 핵폭탄으로 돌아왔다”고 비난하자 “햇볕정책 하나 때문에 북한이 핵개발을 했다는 말에 동의하지 않는다”고 반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