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숙 “6자회담 10일 개막…검증∙核폐기단계 논의”

북핵 6자 수석대표회담이 10일 개막될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측 수석대표인 김숙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은 8일 베이징(北京) 출국에 앞서 “6자 수석대표회의가 10일 오후부터 공식 일정이 시작될 것”이라고 밝혔다.

김 본부장은 이번 회담에서 ▲북한이 제출한 신고서에 대한 평가 ▲검증체계 수립 ▲2단계(불능화 및 신고) 완료와 3단계(핵폐기) 협상개시 문제 ▲6자 외교장관회담 등에 대해 논의하겠다고 밝힌 뒤 “북한의 궁극적인 핵포기를 위한 중요한 교두보가 마련될 수 있도록 각국과 협의를 진행하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미국 수석대표인 크리스토퍼 힐 국무부 차관보도 이날 입성할 것으로 전해졌고, 북한 수석대표인 김계관 외무성 부상도 이날 베이징 서우두 공항에 도착했다. 이에 따라 이날 미∙북, 한∙미, 남∙북 수석대표 회동이 이뤄질 가능성도 있다.

김 본부장은 남북 양자회동과 관련, “아직 계획된 바는 없지만 기대하고 있다. 중국에 도착하면 알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외교 소식통도 “수석대표회담 개막 이전에 다른 참가국들과 적어도 한 차례씩은 양자접촉을 갖는다는 계획”이라며 “현재 일정을 조율 중”이라고 말했다.

김 본부장은 또 “수석대표 일정 간간이 비핵화 실무그룹 회의와 경제∙에너지 지원 실무그룹회의 등이 있을 것”이라며 “시간이 무한정 있다는 생각을 갖지 않고 최대한 효율성을 높여 우리가 이루고자 하는 목표를 이루겠다”고 말했다.

일본 수석대표인 사이키 아키다카(齊木昭隆) 외무성 아시아대양주 국장과 러시아 수석대표인 알렉세이 보로다브킨 외무차관의 베이징 도착 일정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늦어도 10일까지는 입성할 것으로 보인다.

남북한과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등 6자는 회담이 열리면 북한이 신고한 내용에 대한 검증 및 모니터링 체계 구축에 대해 주로 협의하고, 6자 외무장관회담 일정과 3단계 핵폐기 일정에 대한 의견도 교환할 예정이다.

지난달 26일 북한이 핵프로그램 신고서를 제출한 이후에도 가닥을 잡지 못하던 6자회담 일정이 마침내 재개 수순에 들어가는 것이다. 하지만 회담에 대한 전망은 불투명하다.

신고서의 핵심 내용인 플루토늄 핵프로그램과 관련, 검증의 주체부터 방식, 일정, 비용까지 세부적으로 다뤄야 하고 우라늄농축프로그램(UEP), 시리아와의 핵 협력 의혹 등도 검증의 대상이어서 합의점 찾기가 쉽지 않을 전망이다.

특히 북한이 최근 불능화 속도에 다른 6자회담 관련국들의 경제∙에너지 상응조치가 늦춰지고 있음을 지적한 것을 두고 북한이 성실히 검증 체계에 응할 것인지에 의문을 표시하고 있다.

북한은 4일 외무성 대변인 담화를 통해 “핵시설 불능화는 80% 이상 진척됐는데 경제보상은 40%밖에 이행되지 않았다”고 한 것도 심상치 않다. 불능화에 따른 경제∙에너지 상응조치에 대한 불만을 토로한 셈이다

미국도 북한에 대한 테러지원국 해제가 발효되는 8월 11일 이전에 검증 체계가 갖춰지지 않으면 해제 조치가 무효화될 수도 있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어, 자칫 회담 결과에 따라 북핵문제가 또다시 장기 교착상태에 빠질 가능성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다.

외교 소식통은 “북한이 미국과의 핵신고 협의 과정에서 검증에 적극 협력하겠다는 입장을 밝히기는 했지만 실제 협상에서 어떻게 나올 지는 두고 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검증 및 모니터닝 체계 구축에 대한 논의가 진전이 없을 경우 3단계 조치인 북핵 폐기는 논의 일정조차 잡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