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숙 “오바마 캠프와 北核문제 같은 주파수 확인”

북핵 6자회담 한국측 수석대표인 김숙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은 12일 “북미관계 진전이 북핵문제 해결에 도움이 된다면 우리는 마다할 필요가 없다”며 “열린 마음을 가지고 실용적인 차원에서 접근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 본부장은 이날 오전 SBS 라디오 ‘김민전의 SBS 전망대’에 출연 ”북미간 접촉은 한미간 사전협의와 앞으로 충분한 성과를 낼 것이라는 전망을 갖고 세심한 준비 끝에 하게 될 것”이라며 “우리가 소외된다는 걱정은 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버락 오바마 행정부의 대북정책은 부시 행정부 마지막 2년 동안의 북핵 문제에 적극성을 보여왔던 모습을 유지하되, 정권 스타일에 따라 약간의 변화는 있을 것”이라며 “현재 미국은 금융위기에 대한 대처가 가장 큰 현안이기 때문에 외교안보 인선 작업은 몇 달 걸릴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오바마 행정부와 엇박자를 낼 수도 있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과거 정부가 미국 민주당과 이견을 보인 것은 사실이지만 이명박 정부와 정책조율이 잘 될 것이라는 사실을 양국 정상간 통화를 통해 확인하지 않았느냐”며 “이명박 대통령과 오바마의 임기가 비슷하게 겹치기 때문에 정책 공조가 더욱 강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한 “지난주 금요일 황준국 북핵 외교기획단장이 오바마 캠프인사를 만나 북핵과 한미간 공조방안 등에 협의를 했다”며 “그러나 아직 새 정권이 들어선 게 아닌 이상 구체적인 정책 협의보다는 포괄적인 차원에서 의견교환을 했고, 오바마 캠프의 대외관계 실무핵심을 맡고 있는 선에서는 우리와 대체로 같은 주파수를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북한 이슈가 우선순위에서 밀릴 것이라는 전망에 대해서는 “북핵 문제처럼 굉장히 중요한 문제들이 방기되거나 또는 방치되어서 후 순위로 밀린다든지, 해야 할 일을 안한다는 등의 그런 일은 없을 것이라고 생각된다”고 답했다.

김 본부장은 6자회담 개최 시기에 대해 “미 대선도 끝났고 지난 주말 북미간 협의도 끝났으니 이제 날짜 정하는 일만 남았다”며 “의장국 중국으로부터 조만간 날짜 제시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