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핵 6자회담 한국측 수석대표인 김 숙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은 8일 검증의정서 채택과 경제.에너지 지원 및 불능화 문제가 포괄적으로 연계돼 있다고 밝혔다.
한국측은 또 북한의 불능화 조치에 포함된 미사용 연료봉의 ’한국 구입’ 의사를 북측에 간접 타진했다.
이와 함께 러시아가 의장을 맡고 있는 동북아 평화안보체제 실무그룹 회의를 내년 초에 개최하기로 6자간 의견이 모아졌다고 김 본부장은 전했다.
김 본부장은 이날 6자 수석대표회담 첫날 일정이 끝난 뒤 가진 기자브리핑에서 “경제.에너지 지원은 불능화 조치와 ’행동 대 행동’으로 연계돼 있고 검증문제와 포괄적으로 이뤄지게 된다”고 말했다.
그는 또 경제.에너지 실무그룹 의장으로서 에너지 지원에 관한 상세 경과와 추진일정 설명했다고 소개한 뒤 “(경제.에너지 지원은)이번 6자회담에 있어서 중요 의제인 검증의정서와 포괄적으로 합의돼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강조했다.
정부 당국자는 “두 가지 의제가 어느 한쪽만 해결하고 미룰 수가 없는 문제이며 이 모두가 해결되지 않는 한 해결된다고는 볼 수가 없다고 해서 포괄적으로 연계돼 있다고 말하는 것”이라며 “한국은 물론 미국과 일본도 동의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미.일 3국의 에너지-검증의정서 연계 방침은 북한을 압박하기 위한 것으로 보이지만 북한이 강력 반발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어 향후 추이가 주목된다.
김 본부장은 불능화의 상응조치로 취해지는 경제.에너지 지원은 내년 3월까지 마무리하는 쪽으로 대체로 의견이 모아졌다고 말했다.
그는 아울러 남북 수석대표 회담결과에 언급, “김계관 부상과 주요 의제인 검증의정서, 비핵화 2단계 마무리, 경제.에너지 지원문제에 대해 폭넓은 의견을 교환했으며 남북관계에 관해서도 얘기했다”면서 “그리고 이명박 정부의 상생공영정책에 대한 우리 정부의 의지와 진정성을 설명했다”고 말했다.
특히 6자회담을 통한 북핵 진전과 남북관계가 서로 긍정적인 방향으로 추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한국 정부의 입장이라고 말했다고 전했다./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