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의 2차 핵실험 징후가 미국과 일본 등에서 포착되면서 18일 여야는 경고 메시지를 전달하면서도 대응방식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열린우리당은 1차 핵실험 때와 마찬가지로 북한당국에 경고 메시지를 보내는 데 그친 반면, 한나라당은 “전쟁불사 선전포고”로 받아들이며 남북경협 사업 중단 등의 강력한 메시지를 전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열린당 김근태 당의장은 비상대책회의에서 “2차 핵실험은 절대로 있어서는 안 된다는 것을 북한당국은 알아야 한다”며 “핵실험은 상황을 악화시키고 문제를 평화적으로 해결하는데 장애를 조성할 뿐”이라며 북한 당국에 경고했다.
우상호 대변인은 “북한이 2차 핵실험을 강행하면 국제사회에 대한 정면도전인 만큼 강력히 대처할 것”이라며 “남측 인내심도 한계에 다다를 것”이라고 경고했다.
또 미 행정부 유력인사들의 남북경협 중단 요구에 대해 김 의장은 “강력한 대북제재를 원하는 미국정부의 입장을 이해하지만 이 문제만큼은 양보할 수 없다”며 “우리 정부와 국민의 목소리를 진지하게 경청하는 것이 우선”이라고 말했다.
김 의장은 “어떤 경우라도 평화적 해결, 정경분리, 한반도 비핵화라는 3가지 원칙을 지켜야 한다”면서 “국제사회와 우방국의 요청은 충분히 감안해야 하지만 이 3가지 원칙은 양보할 수 없는 사항”이라고 정보당국에 촉구했다.
반면 한나라당은 유기준 대변인은 브리핑을 통해 “유엔 안보리가 대북제재 결의안을 만장일치로 채택해 강력한 경고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북한이 또다시 무모한 도발을 예비하고 있는 것”이라며 “북한의 2차 핵실험은 전쟁을 불사하겠다는 예비적 선전포고”라고 비난했다.
유 대변인은 “1차 핵실험 후 우리정부가 단호하게 대처했더라면 북한이 이렇게까지 쉽게 2차 핵실험을 계획하지는 못했을 것”이라며 “우리 정부의 애매모호하고 미온적인 대처가 북한의 2차 핵실험을 부추기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정부는 북한이 2차 핵실험을 할 경우 어떠한 불이익을 받을 것인지를 구체적 행동으로 보여주어야 한다”며 “PSI 적극 동참과 금강산 관광, 개성공단사업을 즉시 중단하는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강조햇다.
김형오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 대책회의에서 “김근태 의장이 다음달 ‘금강산관광 사업 8주년’에 맞춰 금강산을 방문할 것이라는 소식에 어안이 벙벙하다”며 “이런 식이면 내년에는 북한 핵실험 장소를 관광 명소화해서, 여당이 대거 참여해 축하행사를 벌이지 않으리라는 법도 없다”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