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국 기다리던 北 노동자, 돌연 中서 부업 나서야 하는 이유

진행 : 북한 당국이 체류기간이 만료된 해외 파견 노동자들의 귀국을 연장하고, 현지에서 다른 외화벌이 방법을 강구하라는 지시를 하달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유엔 안보리 제재 결의 2371호에 따라 해외 노동자 추가 파견에 제동이 걸린 상황에 대한 조치로 풀이됩니다. 자세한 소식 강미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보통 해외에 파견된 북한 노동자들은 파견된 분야에 따라 3~5년 주기로 본국으로 귀환해야 하지만 예외적인 조치가 내려졌습니다. 

중국의 대북 소식통은 10일 데일리NK와의 통화에서 “최근 귀국 지시를 기다리고 있던 중국 피복공장에 파견된 근로자들에게 체류 기간 연장 지시가 내려졌다”고 말했습니다.

소식통은 이어 “중국에 파견된 조선(북한) 근로자들에게 ‘일을 할 수 있는 조건이 주어지기를 기다리지 말고 없으면 찾아서라도 일을 하라’”는 지시도 하달됐다고 전했습니다. 고용계약을 체결하지 못한 노동자들에게 부업에라도 나서야 한다고 강조한 겁니다.

이에 따라 “랴오닝(遼寧)성 단둥(丹東)에 나가 있는 일부 (북한) 근로자들은 여러 명씩 무리를 지어 주변의 식당과 호텔 등지에 나가 며칠 씩 일을 하기도 한다”는 게 소식통의 설명입니다. 그는 “탈북의 위험이 있지만 현재는 돈을 벌 수 있는 조치가 있을 때까지 이런 식으로라도 (돈을) 벌어야 하는 상황”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유엔 안보리 결의 2371호에서 ‘북한 해외 노동자 신규 채용 금지’ 조치가 권고 사항에서 의무사항으로 강화되자, 북한 당국이 기존 규칙을 수정하면서까지 대책 마련에 주력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됩니다.

그러나 유엔 안보리의 새 대북제재안이 나온 이후 중국 기업들도 북한과의 합작 사업이나 노동자 고용을 주저하는 등 북한 당국의 입장에서는 상황은 점점 좋지 않은 방향으로 흘러가고 있습니다. 

중국의 또 다른 소식통은 “조선기업과 합작해 일을 하면 인건비가 상대적으로 싸기 때문에 좋은 점도 있지만 국제사회의 조치라든가, 조선 내 지시 등으로 갑작스럽게 노동자들을 철수시키는 일이 다반사”라며 “이렇게 되면 일에 상당한 손해가 발생하기 때문에 조선 사람들을 잘 쓰려고 하지 않는다”고 말했습니다.

실제로 중국 단둥과 지린(吉林)성 옌지(延吉) 등지에 파견된 일부 북한 기관들은 합작할 중국 기업을 찾고 있지만, 중국 기업들의 태도는 냉랭하기만 하다고 소식통은 현지 분위기를 전했습니다.

북-중 간에 이미 체결한 계약도 파기돼, 관련 업종 종사자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소식통은 “조중 양쪽이 최종 합의를 본 상태의 무역 품목들에 대해서도 대북제재 품목으로 선정됐다는 이유로 조선으로 다시 반품을 하는 경우도 많다”고 말했습니다. 이 여파로 중국 현지에서 수출사업으로 외화를 벌어들이던 북한 무역기관들이 직격탄을 맞고 있습니다.

이어 그는 “우리도 바쁘지만(힘들지만) 조선 사람은 더 바쁠 것”이라면서 “경제봉쇄가 날이 감에 따라 강화되고, 해외에서 들여오는 외화도 줄어들고 있고, 수출도 막히다보니 안팎으로 자금난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망했습니다.

강미진 기자
경제학 전공 mjkang@uni-media.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