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1천 명에 육박하는 사이버공격 조직을 구축한 것으로 확인됐다.
국회 정보위 여야 간사인 황진하 한나라당 의원과 최재성 민주당 의원은 28일 원세훈 국정원장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국회 정보위 국정감사에서 “북한의 사이버능력은 주목할 만하다”며 이같이 전했다.
국가정보원(국정원)은 “이들(북한 사이버공격 조직)은 평소에는 정보수집, 사회혼란 조성에 활용하고 있고, 전시에는 국가기능 마비 등을 목표로 활동할 것으로 예측된다”고 밝혔다.
국정원이 파악한 바에 따르면 북한의 해킹 부대나 기관 등 사이버공격 조직은 북한 인민무력부 정찰총국 산하에 700~800명 규모로 운영하고 있으며, 북한 전역은 물론 중국에도 수 곳의 ‘해킹 기지’를 마련해 놓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정원은 정부기관에 대한 사이버공격 사례가 2004년 1월부터 현재까지 총 4만8천 여건이 있었고, 올해만 해도 9천200여건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고 보고했다.
특히 이 중에는 내달 11∼12일 개최되는 G20(주요 20개국) 정상회의 준비위원회에 대한 해킹, 한·미연합사와 국회의원 및 국회의원 보좌관 PC에 대한 해킹 사례도 있었던 것으로 전해져 충격을 주고 있다.
다만 국정원은 G20 준비위원회에 대한 해킹 시도 등이 북한의 소행인지는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 하지만 황 의원은 “북한의 행위라고 단언할 수는 없지만 그럴 가능성이 높지 않겠느냐”고 덧붙였다.
이어 국정원은 북한의 최근 동향과 관련, “후계체제의 안전한 정착을 위한 움직임이 상당히 신속하게 이뤄지고 있다”고 밝혔다.
국정원은 “후계자 김정은이 군부대 및 국가안전보위부 등 체제 안전과 관련된 기관.부대를 잇따라 방문하고, 중국과 밀착하는 동시에 미.북 대화 구축을 위해 고심하는 흔적이 역력하다”며 “이는 천안함 국면에서 탈피해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공조체제를 무력화하려는 모습”이라고 분석했다.
김정일의 건강과 관련해선, “외국 언론에서 3~5년 안에 사망한다는 보도가 많이 나오는데, 동의하느냐”는 질문에 원 원장은 “그렇게 볼 여지가 많다”고 답했다.
그는 이어 “(김정일 건강이) 더 좋아졌다는 징후는 없으며 건강 문제로 후계체제 안정에 몰두하는 것 같다”면서 “건강 악화가 예상보다 빨라져 급변사태가 일어날 것에 대비해 만반의 준비를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국정원은 또 남북관계와 관련, “금강산 사업과 같이 실무적이고 개별적 수준의 해법으로는 남북관계 변화가 어렵고, 큰 틀의 시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일각에서 제기된 북한의 3차 핵실험 가능성에 대해서는 “징후가 포착된 것은 없으나,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정보활동을 하고 있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