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는 경기도 파주와 서해 백령도, 강원도 삼척에서 지난 3~4월 추락한 채 발견된 소형 무인기 3대가 모두 북한에서 발진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8일 발표했다. 3대 모두 발진지점과 복귀지점이 북한 지역으로 확인됐다는 것이다.
국방부는 이날 한미 양국 전문가들이 참여해 실시한 공동조사 결과를 발표하면서 “경무인기 3대의 비행조종 컴퓨터에 저장된 임무명령서(발진·복귀 좌표)를 분석한 결과, 북한의 소행임을 입증할 명백한 과학적 증거(Smoking Gun)를 발견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국방부에 따르면 3월 24일 파주에서 발견된 무인기는 발진·복귀지점이 개성 북서쪽 5km 지역으로 분석됐다. 또한 같은 달 31일 백령도에서 추락한 무인기의 발진·복귀지점은 해주 남동쪽 27km 지역으로 확인됐다.
이들 무인기는 비행조종 컴퓨터에 저장된 비행계획과 남측지역의 사진촬영 경로가 일치했다고 군은 설명했다.
지난달 6일 삼척에서 발견된 무인기는 발진·복귀지점이 북한 강원도 평강 동쪽 17km 지역으로 확인됐다. 다만 이 무인기는 사진자료가 없어 비행계획과 사진촬영 경로 일치 여부는 확인하지 못했다는 것이 군의 설명이다.
또한 이 무인기들이 중국의 민간회사에서 제작하는 무인기와 외형과 성능 등이 거의 일치할뿐만 아니라 중국으로부터 수입해 개조했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북한이 무인기를 보내 청와대 등 수도권 핵심시설과 서해 군부대를 촬영했다는 점이 드러남에 따라 우리 군은 이를 군사도발로 규정하고 경고조치를 취하는 등 강력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국방부는 “북한의 무인기 침투 행위는 정전협정과 남북불가침 합의를 위반한 것으로 명백한 군사 도발”이라면서 “우리 군은 북한의 도발에 대해 강력하게 대응할 것이며 정전협정에 근거해 유엔사를 통해서도 경고 조치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북한 무인기를 새로운 군사위협으로 인식하고 전 부대의 경계·대공감시태세를 강화할 방침이다. 또한 중요지역에 대해서는 소형 무인기를 동시에 탐지·타격할 수 있는 통합체계를 우선으로 구축하고 대공포, 육군 헬기 등 타격체계를 조정해 운영 중이라고 밝혔다.
한편 북한은 지난달 14일 국방위원회 검열단 명의로 된 ‘진상공개장’을 통해 무인기 관련해 ‘조작’ ‘날조’라는 표현을 쓰면서 ‘공동조사’를 주장한 바 있다. 또한 선전 매체들을 동원해서도 줄곧 무인기와의 연관성을 강력히 부인해온만큼 이번 결과에 대해서도 전면 부인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