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산 관광객 피살사건 이후 우리 정부의 대북정책과 관련해 우리 국민 절반은 ‘대화가 중단되더라도 강경한 입장을 유지해야 한다’는 입장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명박 대통령 취임 6개월을 맞아 서울신문이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전국의 만 19세 이상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지난 23~24일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 ‘강경한 입장 유지’가 50.6%, ‘강경한 입장보다는 대화를 추진해야 한다’는 응답은 47.7%였다.
정부의 강경 대응을 주문한 응답은 고학력층에서 빈도가 높았고 지역별로는 대구·경북(62.3%), 대전·충청(56.5%)에서 높게 나왔다.
또한 이 대통령의 국정운영을 긍정적으로 평가한 응답자의 66.5%, 한나라당 지지자 69.6%와 지난 대선에서 이 대통령을 지지한 사람들 65.2% 등에서 강경한 대응을 주문했다.
반면, 민주당 지지자의 64.2%는 북한과의 대화를 주문했다. 지역별로는 광주·전라(71.6%)에서 높게 나왔다. 지난 대선에서의 정동영 후보 지지층에서도 69.3%가 ‘대화 추진’을 요구했다.
한편, 이 대통령의 국정 운영에 대해 31.2%가 ‘잘하고 있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취임 초기 60%대에서 미국산 쇠고기 수입 논란과 관련한 촛불시위의 영향으로 지난 6월에는 10%대까지 떨어졌던 지지율이 회복세로 들어선 것이다.
이 대통령이 ‘잘하고 있다’는 긍정적인 응답은 연령이 높고 학력이 낮을수록 높은 경향을 보였다. 반대의 응답은 광주·전라 지역 거주자(84.4%)와 비(非)한나라당 지지자 등에서 상대적으로 높았다. 이는 이 대통령의 지지도가 회복하는 단계에 있지만 지지층은 여전히 제한적임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이 신문은 분석했다.
한편, 이번 조사는 컴퓨터를 이용한 전화면접(CATI)을 통해 이뤄졌다. 조사대상은 지난해 말 주민등록인구 현황에 따라 성별, 연령별, 지역별로 비례할당을 한 뒤 무작위로 추출해 정했다. 여론조사 신뢰도는 95% 신뢰 수준에서 최대허용 표집오차 ±3.1%이다. 응답률은 14.1%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