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일 공동성명 채택으로 막을 내린 4차 6자회담의 결과에 대해 국민들 상당수가 지켜지기 어렵거나 미흡한 수준으로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일보와 한국리서치가 이달 20~21일 이틀에 걸쳐 실시한 ‘북핵 6자회담 공동성명’에 관한 여론조사에서 응답자의 21.2%가 ‘북핵문제 획기적 계기’라고 긍정적으로 평가했지만 38.2%는 ‘지켜지기 어려운 합의’, 33.5%는 ‘미흡한 수준’이라며 부정적이거나 유보적인 태도를 보였다고 문화일보가 22일 보도했다.
이 신문은 부정적인 평가가 다소 높은 이유를 합의문의 모호성 때문에 앞으로도 북ㆍ미간 줄다리가 계속될 것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했다.
부정 평가는 특히 50대(43.3%)와 60대(45.9%) 연령층, 중졸 이하 학력(47.0%), 한나라당 선호자층(44.8%)에서 평균보다 높았다. ‘획기적인 계기’라는 긍정평가는 30대(24.0%), 자영업(25.2%), 생산직 근로자(28.3%), 열린우리당 선호자층(2.1%)에서 특히 높게 나타났다.
또한 ‘공동성명’ 발표 하루만인 20일 ‘선 경수로 제공 후 핵폐기’ 요구를 주장하고 나선 북한의 입장을 반대하는 목소리도 높았다.
60.8%, 북한 핵부터 폐기해야
북한의 핵 폐기와 경수로 제공 중 어느 것이 먼저냐는 순서에 대해서 응답자의 60.8%가 ‘핵을 먼저 폐기한 후 경수로 제공 문제를 논의할 수 있다는 미국 입장’에 공감을 표했다. ‘경수로를 먼저 제공받은 후 핵을 모두 폐기하겠다는 북한 입장‘에 공감한다는 응답은 27.9%에 그쳤다.
미국의 입장에 공감하는 응답은 60대이상(70.4%)과 50대(69.3%), 중졸 이하(68.0%)와 고졸(62.3%), 한나라당 지지층(69.2%)에서 상대적으로 높았고, 북한 입장에 공감하는 응답은 20대(34.3%)와 40대(30,7%), 전문대 재학이상(32.2%), 민주노동당(40.9%)과 열린우리당(34.2%) 지지층에서 높게 나타났다.
정부가 마련 중인 대규모 대북 경제 지원책에 대해서는 절반 이상이 찬성한다는 의견을 보였다.
대규모 대북경제지원 방침에 대해 응답자중 54.1%는 ‘찬성한다’, 24.5%는 ‘반대한다’로 나타났다. 찬성 의견을 밝힌 응답자들은 ‘경제지원이 통일이후를 대비하는 사전비용의 성격이 있다고 보기 때문’(60.1%)이라고 밝혔다. 반대 응답자들은 ‘남한 경제도 어려운 상황에서 북한 지원이 시급한 문제가 아니기 때문’(53.1%)이라고 말했다.
함경남도 신포에 건설하다 중단한 경수로 원자력발전소 처리방향과 관련, ‘신포경수로 건설을 중단하되 상황에 따라 건설 재개 여부를 다시 논의해야 한다’는 응답이 45.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북한이 에너지원을 안정적으로 확보한다는 차원에서 건설을 재개해야 한다’는 응답도 33.2%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20~21일 이틀간 전국의 성인남녀 815명을 대상으로 컴퓨터를 이용한 전화면접 조사 방식으로 실시됐으며, 신뢰수준 95%에 표집오차는 ±3.4%이다.
양정아 기자 junga@dailynk.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