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국무부는 세계 각국 종교자유 실태에 관한 ‘국제종교자유보고서’를 15일(현지시각) 발표하고, 북한을 종교자유가 극도로 제한된 국가로 지목했다.
국무부의 존 핸포드 국제종교자유 담당 대사는 “지난 30년간 종교의 자유가 보장된 나라가 44개국에서 89개국으로 늘어나는 등 상황이 크게 호전되고 있으며, 이는 베트남 등 공산국가들도 마찬가지”라며 “하지만 유독 북한만은 종교의 자유가 개선되지 않고, 명백한 탄압이 계속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 날 발표된 보고서에는 ‘특별우려대상국(Countries of Particular Concern)’이 따로 지정되지 않았으며, 대상국가 목록은 수주 내로 공개될 것이라고 핸포드 대사는 덧붙였다.
국무부는 지난해 북한을 비롯해 미얀마, 중국, 베트남 등 8개국을 종교자유가 가장 심하게 탄압되는 ‘특별우려대상국’으로 지정한 바 있다.
특별우려대상국으로 지목된 국가는 미국 행정부의 종교자유법에 따라 경제제재의 대상이 된다. 북한은 지난 2001년 이래 매년 특별우려대상국으로 지정돼왔다.
보고서는 “2001년 특별우려대상국으로 지정된 이후에도 북한 주민에 대한 종교 자유의 진전은 거의 없었다”며 “최근에는 중국 국경 등지에서 외국의 NGO 종교 단체와 접촉했던 북한 주민들이 체포되어 심한 처벌을 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북한의 종교자유실태와 관련, 보고서는 북한이 헌법상으로는 종교 자유를 보장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당국이 모든 종교행위를 엄격하게 규제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또 북한의 종교인 수는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지만, 정부 추산에 따르면 기독교와 불교도가 각각 1만 명씩, 천주교인이 4천명 정도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특히 “북한을 방문한 경험이 있는 외국인들 가운데는 북한 있는 교회들에서 예배가 열리는 것을 봤지만 연출된 것처럼 보였고, 정권을 지지하는 정치적 내용을 담은 것이었다고 말하는 사람도 있었다”고 지적했다.
미국은 1998년 국제종교자유법을 발효한 후, 국무부 산하에 특별대사를 두고 전 세계의 종교 자유 실태를 매년 조사해 왔다.
한편, 세계적인 기독교 선교단체인 ‘오픈도어즈(Open Doors)’도 북한을 2003년부터 4년 연속 최악의 기독교 탄압국으로 선정한 바 있다.
※ 보고서 전문(영문) 보러가기
양정아 기자 junga@dailynk.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