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안보리 대북제재결의 1874호의 이행사항을 점검하기 위해 아시아 4개국을 방문 중인 필립 골드버그 미 국무부 대북제재 조정관은 24일 “북한의 비가역적인 비핵화가 우리의 궁극적 목표”라는 점을 재차 강조했다.
싱가포르와 태국에 이어 한국을 방문한 골드버그 조정관은 이날 오전 서울 정부중앙청사 별관에서 위성락 외교통상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과 만나 “미국에서 스티븐 보즈워스 대북정책 특별대표와 성 김 6자회담 특사와 만나서 심도 있는 논의를 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런 목표는 유엔 안보리 결의에서도 잘 나타나 있다”면서 “이번에 같이 온 대북제재 전담팀에는 재무부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국방부 등의 관계자도 포함돼 있는데 이 중 NSC와 국방부 관계자는 비핵화 전문가들”이라고 말했다.
최근 북한의 유화적 제스처에 대해 미국은 ‘주변적 조치들(marginal steps)’에 불과하다고 평가하며 대북제재의 고삐를 늦추지 않겠다는 태도를 지속하고 있다.
앞서 미국 조문단의 일원으로 방한한 스티븐 보즈워스 대북정책 특별대표도 위 본부장과 만나 미 여기자 특사조치부터 고위급 조문단 파견까지 북한이 유화적 조치를 취하는 것과 관련 한미간 북핵 전략을 재점검 했다.
이 자리에서 한미 양측은 북한의 태도 변화에 대해 올해 상반기 동안 장거리로켓발사와 핵실험 등 도발을 이어갔던 모습과 비교할 때 상당한 변화임은 분명하지만, 결국 북핵 해결의 본질과 무관하며 공동대응기조에는 아무런 변화가 없다는 점을 재확인했다.
위 본부장은 이와 관련, “그제 보즈워스 대표와 만났는데 (제재-대화라는) ‘2개의 수레바퀴’를 굴려서 완전하고 검증 가능한 비핵화를 이루는 게 우리의 목표라는 것을 다시 한번 확인했다”고 소개했다.
한편, 이날 면담에서는 최근 남북관계의 기류 변화가 유엔 결의 이행에 미치는 영향 및 대응 방향에 대해서도 조율할 것으로 알려졌다.
골드버그 조정관은 이날 오 준 외교부 다자외교조정관, 기획재정부 국제업무관리관, 국방부 국방정책실장, 한국은행 관계자들과 잇달아 만나 안보리 대북 결의의 전반적인 이행 상황을 점검하고 양국간 공조방안을 협의한다.
골드버그 조정관은 한국 정부 관계자들과 면담을 끝낸 뒤 이날 오후 일본으로 출국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