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문 당한 김영환, 중국에서 어떤 활동했나?

북한인권운동을 벌이다 중국 공안에 체포돼 고문을 당한 김영환 북한민주화네트워크 연구위원의 중국내 활동에 대해서는 알려진 것이 거의 없다.


일각에서 북한 내부의 민주화 세력과 연계돼 활동을 벌인 것 아니냐는 관측이 제기됐지만 김 위원은 자신의 활동 내용에 대해 밝히는 것을 자제해 왔다. 중국 당국 역시 김 위원에 ‘국가안전위해죄’ 적용했지만, 구체적인 혐의 내용은 함구하고 있다. 이 때문에 김영환의 중국 내 활동, 고문이 집중된 이유, 고문사실을 뒤늦게 공개한 점 등에 대한 의혹이 끊이지 않고 있다. 


이에 대해 ‘김영환고문대책회의’ 최홍재 대변인이 최근 발간된 계간 ‘시대정신’ 시론을 통해 “김영환 위원은 북한정보수집·북한인권 개선 운동을 중국인과 함께 했다”며 관련 의혹들에 대해 밝히고 있어 관심을 끌고 있다.


데일리NK는 최 대변인이 ‘시대정신’을 통해 밝힌 김 위원의 중국내 활동 내용 등을 요약·소개한다.


다음은 ‘시대정신’ 가을 호 시론 ‘김영환 사건과 그 이후’의 주요 내용. 


Q1. 왜 김영환 위원에게 고문이 집중됐나?


김 위원을 포함, 한국인 북한인권운동가 모든 이들은 조사 과정 동안 의자에 묶이고 수갑을 찬 상태로 앉아서 잠을 잤다. 그 자체로 용납되기 어려운 가혹행위다. 다만 전기고문, 잠 안 재우기, 구타 등은 김 위원에게만 집중 됐는데 이는 세 가지 이유가 있었던 것 같다.


첫째, 3인(유재길, 강신삼, 이상용)은 처음부터 진술을 했으나 김 위원은 영사접견을 요구하며 묵비권을 행사했다. 김 위원에 대한 고문이 집중된 시기는 이 묵비권을 행사한 18일 동안이었다. 김 위원은 4월 16일 이후부터 1차 영사접견이 있었던 4월 26일까지 진술을 하는데, 묵비권을 계속 행사하면 신체에 영구손상이 올 것을 걱정했기에 중국 공안당국이 이미 알고 있는 사실을 확인해 주는 선에서 진술했다고 한다.


둘째, 3인에 대해서는 도청, 감청, 미행, 사이버 해킹 등을 통해 이미 많은 내용을 파악하고 있었던 반면 김 위원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내용을 파악하지 못하고 있었다.


셋째, 중국 공안당국은 김 위원이 (북한민주화운동의) 지도자급이기에 집중적으로 공략하여 다량의 정보를 파악하고 싶었을 것이다. 이미 자신들이 파악한 것 이상의 정보들을 알고자 했을 것이다.


Q2. 왜 중국 내 활동의 구체적 내용을 밝히지 않나?


김 위원이 구체적 내용을 밝히지 않았던 것이 아니다. 기자회견이나 인터뷰 등의 답변에서 부분적으로 언급했다.


김 위원은 자신에게 적용된 혐의는 두 가지였을 것 같다고 했다. 하나는 중국에서 북한 정보를 취득한 것이고 또 하나는 중국인을 북한민주화운동에 참여하게 한 것이라는 것이다. 전자는 그 근거가 취약하기에 성립조차 어렵다고 판단했고, 주로 다툼은 두 번째 내용에서 일어날 것이라고 보았다고 한다. 즉 김 위원은 중국 동북에서 북한 정보를 파악하는 일을 했고, 북한 인권개선 활동에 중국 조선족도 참여했다고 이야기했다.


또한 김 위원은 북한 내에 민주화 세력이나 인사들이 있느냐는 질문에 한국에서 민주화운동을 할 때와 같은 민족민주혁명당 규모의 큰 조직은 없지만 소규모 조직이나 개인들은 있다고 말했다. 그 외에 구체적인 내용은 관련자들에 대한 보호 때문에 더 말하기 어렵다며 양해를 구했다. 그렇다면 김 위원이 이들과 연계를 맺고 있었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Q3. 왜 첫 회견에서 고문 내용을 밝히지 않았나?


김 위원은 기자회견 당시 심각한 가혹행위가 있었다고 진술했다. 다만 “오늘(7월 25일, 귀국 후 첫 기자회견)은 더 이상 구체적인 내용을 이야기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이는 중국에 남아 있는 북한인권운동가들의 신변 걱정 때문이었다.


이들 중 한국으로 올 사람들은 오고, 남아있는 사람들도 신변정리가 어느 정도 마무리되면 언급하려고 했던 듯하다. 기자회견 후 대책위 관계자들과 식사를 할 때에도 고문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은 없었다.


그런데 26일 조간에 전기고문 사실이 보도되고 그날 오전 하태경 의원이 사실이라고 확인하면서 김 위원의 생각과는 다르게 상황이 전개됐다. 김 위원도 대책위도 전혀 준비되지 않은 상태였다. 갑자기 터져 나온 진실에 떠밀려 허둥지둥했고, 8월 9일에야 ‘김영환고문대책회의’로 전환하며 겨우 체계를 정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