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직 경찰총수들이 정부의 전시 작전통제권 (작통권) 단독행사 추진에 반대하는 성명을 낸 데 대해 경찰조직 내에서 비판의 목소리가 높다.
전직 경찰 총수들이 전문 분야도 아닌 전시 작통권 문제를 들고 나와 시류에 영합하는 듯한 모습을 보인 것은 부적절했다는 것이 현직 경찰간부들의 중론이다.
특히 성명을 발표한 인물들이 검ㆍ경 수사권 조정이나 경찰관들의 열악한 처우 등 경찰의 핵심 현안에 대해서는 별다른 집단 의견 표명을 한 적이 없었던 점을 들며 비꼬는 분위기마저 있다.
한 경찰 고위간부는 이번 성명 발표에 대해 “정작 얘기를 해야 할 때는 안 하고 엉뚱한 때 나서는 것 같다”며 “전직 경찰총수가 군사 문제에 대해 왈가왈부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번 성명에 서명한 사람 중 대부분이 군사정권 시절이나 노태우 정권에서 경찰 총책임자 자리를 지내다가 물러난 지 오래 된 인물들이어서 더욱 납득하기 어렵다는 반응도 나온다.
인권유린과 정치사찰로 경찰이 악명을 떨쳤던 군사정권 시절 내무부 치안국장이나 치안본부장 등을 지내다 물러났던 이들이 지금 와서 마치 경찰을 대표하는 것처럼 행세하는 데 대해 거부감이 든다는 것이다.
이택순 경찰청장은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그 분(전직 경찰총수)들이 나름대로 그런 생각을 가질 수는 있다”면서도 `총수론(總帥論)’을 펴며 이번 성명 발표를 우회적으로 비판했다.
그는 “어느 집단이든 `총수’는 사회적 영향이 크고 막중한 소임이 따르므로 그에 걸맞게 신중하고 깊은 사회적 성찰이 있어야 하는 어려운 자리”라며 “총수가 의견을 밝힐 때는 깊은 배려와 치밀한 사고가 따라야만 하며 전략적 분석이나 심층 검토 없이 보도와 일반적 발표 내용에 근거해 의견을 표명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지적했다.
그는 “`총수’를 지내고 그 명칭이 아직까지 따라붙는 분들이라면 마땅히 행동과 표현에서 사회적ㆍ역사적 가치관을 고민하고 성찰하는 흔적이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