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공단 비대위 “南北, 정상화에 합의해달라”

‘개성공단 정상화 촉구 비상대책위원회’는 남북 당국 간 7차 실무회담을 하루 앞둔 13일 남과 북에 개성공단 정상화 합의를 촉구했다.


123개의 개성공단 입주기업으로 구성된 비대위는 이날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우리 정부와 북측 당국은 제7차 실무회담에서 반드시 개성공단 정상화에 합의해달라”고 주문했다.


비대위는 이어 “전제조건 없는 재발방지로 개성공단의 안정적 경영활동 보장을 마련해 주기를 바란다”면서 “개성공단의 조속한 재가동을 위해 설비유지 보수인원의 방북을 허용해달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위기에 직면한 개성공단의 정상화를 위해 언론과 국민 여러분도 남북 양측이 이번 회담에서 성공적 합의를 이끌어 낼 수 있도록 협조·지지해달라”고 당부했다.


옥성석 개성공단기업협회 부회장은 “성명서 낭독이 오늘로서 마지막이 됐으면 좋겠다”며 개성공단 정상화에 대한 간절한 마음을 전했다.


이날 오후 현재까지 경협보험금을 수령한 기업은 5곳으로 알려졌다. 입주기업들은 개성공단 정상화와 경협보험금 수령에는 아무런 관계가 없다는 입장이다.


유창근 비대위 대변인은 “지난 4월 이후 기업들은 어렵게 버티고 있는 실정”이라며 “경협보험금은 기업이 쓰러지지 않게 하기 위한 생명줄과도 같다. 기업인들이 절실하기 때문에 경협보험금을 신청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유 대변인은 이어 “일부 오해가 있는 것 같은데 경협보험금을 받는다고 해서 사업을 접거나 하는 사례는 없다”며 “경협보험금은 기업을 살리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폐쇄와는 무관하다”고 선을 그었다.


통일부 당국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7차 실무회담과 관련, “정부는 차분하면서도 담담하게, 예상되는 북한의 태도에 대해 면밀하게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회담 전망에 대해선 “남북 간 쟁점이 있는 부분에 대해 합리적이면서도 건설적인 협의가 이뤄져서 개성공단의 발전적 정상화를 위한 합리적 방안이 마련되길 바란다”고만 밝혔다.


한편 7차회담에는 지난 6차 때와 마찬가지로 우리 측에서는 김기웅 통일부 남북협력지구지원단장이, 북측에서는 박철수 중앙특구개발총국 부총국장이 각각 수석대표로 나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