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공단기업들 “남북, 개성공단 정상화 나서야”








▲개성공단 정상화 촉구 비상대책위원회의 한재권 대표 공동위원장 등 지도부가 30일 비상대책회의를 마친 뒤 개성공단 조기 정상화 촉구 등의 내용이 담긴 성명을 발표했다. /연합

개성공단 입주기업들은 30일 “우리 기업들의 확고부동한 요구는 개성공단의 조기 정상화”라며 “남북 양측은 지금이라도 실무회담을 재개해 개성공단 정상화에 합의해 주기 바란다”고 밝혔다.


개성공단 정상화 촉구 비상대책위원회는 이날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전체 입주기업들이 참석한 가운데 비상대책회의를 진행, 이 같은 요구 사항을 담은 성명을 발표했다.


비대위는 또 “남북 양측이 개성공단의 진정한 정상화를 원한다면 우선 설비 점검·유지·보수를 위한 ‘설비 관리단’ 인원의 방북을 허락해달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우리는 지난 남북 6차 실무회담에서 북측 제안이 전향적이었다고 본다”면서 “다만 북한은 이번 사태와 관련해 전제조건 없는 재발방지를 보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지난 회담에서 우리 정부 의제가 대부분 북측 안에 반영된 것으로 보고 있다”면서 “그럼에도 우리 정부가 공단 폐쇄를 결정한다면 우리 기업의 희생에 대해 정당한 보상을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비대위는 향후 활동계획으로 개성공단 정상화를 위한 ‘100만 명 서명운동’을 온·오프라인에서 전개하고 거리서명도 벌이기로 했다.


이와 함께 개성공단이 정상화될 때까지 입주 기업인들이 돌아가며 국회나 대한문 앞에서 릴레이 ‘1인 시위’를 하고 하루에 3천 배씩 절을 하기로 했다. 남북 실무회담으로 중단했던 ‘평화 대행진’도 재개할 예정이다.


한편 이날 성명서 초안에는 “북측 당국은 정치적 언동과 군사적 위협 등 유사한 상황이 발생할 경우 가동중단 사태가 재발할 수 있다는 입장을 확실하게 철회해야 한다”는 문구가 포함됐었지만 “어제 합의된 내용과는 다르게 문구가 추가됐다. 정부의 아바타 노릇을 하지말라”는 정기섭 분과위원의 지적을 수용, 해당문구가 성명에서 삭제되는 헤프닝이 벌어지기도 했다.


앞서 우리 정부는 지난 29일 류길재 통일부 장관 명의의 성명을 통해 개성공단 정상화를 위한 남북 당국 간 7차 실무회담을 북측에 제안했지만, 북측은 아직까지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