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감찬함 “필승, 소말리아로 출동합니다”

해적 피해가 잇따르고 있는 소말리아 해역에 한국형 구축함(KDX-Ⅱ)이 교대로 파견되며 1차로 KDX-Ⅱ 5번 함인 강감찬함(4천500t)이 투입될 것으로 알려졌다.

군 관계자는 19일 “해군에서 소말리아 파견 함정으로 강감찬함을 유력하게 검토하고 있다”며 “현재 건조된 KDX-Ⅱ 6척의 임무 등을 고려해 그런 계획을 마련한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강감찬함은 차세대 한국형 구축함 사업에 따라 2006년 3월 건조돼 작년 9월 실전배치됐다.

해군은 강감찬함을 1차로 소말리아에 파견하고 함정 정비 등을 고려해 나머지 5척의 KDX-Ⅱ를 4~5개월 단위로 교체해 투입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군 관계자는 전했다.

강감찬함에는 해적들의 기습공격에 대비해 수중폭파와 대테러작전 임무 수행이 가능한 해군특수전여단(UDT/SEAL) 요원들이 탑승할 것으로 알려졌다. UDT/SEAL은 해군 최정예 특수전부대로 UDT(수중폭파반), SEAL(육해공 전천후 작전팀), EOD(폭발물처리반), 해상대테러 부문 전문 요원들로 구성돼 있다.

군 관계자는 “강감찬함에 보급품을 전달할 군수지원함은 따로 보내지 않을 계획”이라며 “소말리아 해상에서 활동 중인 일본과 미국의 군수지원함을 통해 보급품을 전달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길이 149.5m, 폭 17.4m인 강감찬함은 5인치 주포 1문과 근접방어무기체계(CIWS), 대함.대공 유도탄, 어뢰를 탑재하고 대잠헬기 2대를 운용할 수 있어 입체적인 대공.대함.대잠작전 수행능력을 갖추고 있다.

가스터빈과 디젤엔진 각각 2대를 장착해 최대 30노트까지 속력을 낼 수 있으며 항속거리는 1만2천km로 한국에서 아라비아해까지 쉬지 않고 항해가 가능하다.

승조원 200여명이 탑승하는 이 함정은 고려시대의 명장으로 거란의 10만 대군을 수공(水攻)으로 물리친 강감찬 장군의 진취적 기상을 잇기 위해 함명을 ‘강감찬함’으로 정했다.

해군은 충무공 이순신함, 문무대왕함, 대조영함, 왕건함, 강감찬함, 최영함 등 KDX-Ⅱ 6척을 운용하고 있다./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