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사원은 26일 `천안함 침몰사건’과 관련, 순국 장병들의 영결식이 끝난 직후인 내주부터 사건 전반에 걸쳐 대대적인 직무감사에 돌입할 것으로 알려졌다.
감사원 관계자는 이날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천안함 장병들의 장의 및 영결식이 끝난 직후 본격적으로 직무감사에 나설 것”이라며 “현재 국방부와 합참으로부터 감사에 필요한 자료를 수집, 분석중”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번주까지는 군으로부터 넘겨받는 자료들을 분석하는 데 주력하고, 내주 초부터 본격적인 감사가 이뤄질 것”이라고 했다. 이에 따라 다음달 3일부터 본격적인 감사가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이번 감사원의 직무감사는 단순한 행정적 감사가 아니라 천안함 침몰사건에 대한 전반적인 감찰 차원으로 진행되는 것이어서 조사 결과에 따라 `메가톤급’ 후폭풍이 뒤따를 것으로 예상된다.
더욱이 이번 감사는 김태영 국방부 장관이 직접 공문을 보내, 직무감사를 요청한 것으로 알려져 그 어느 때보다 엄정한 감사가 될 것으로 보인다.
감사는 행정안보국에서 전담하되, 사건의 중요성을 감안해 특별조사국을 비롯해 군에 정통한 전문 인력들을 대거 지원하는 형태가 될 것이라는 게 감사원측 설명이다. 이에 따라 감사 투입인력도 탄력적으로 최대한 지원될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로 행정안보국에서는 전문인력 10여명이 투입돼 그동안 언론 등에서 밝힌 사건 개요와 의문점 등을 집중 분석하는 한편, 군으로부터 넘겨받은 자료 등을 주도면밀하게 살피는 작업을 벌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감사 방향은 사건원인의 경우 민.군 합동조사반에서 하고 있는 만큼 천안함 침몰사건 뒤 지휘보고 실태와 위기관리 체계에 초점이 맞춰질 것으로 보인다.
특히 사건발생 시점이 9시15분에서 45분까지 4차례나 혼선을 빚고, 군 수뇌부가 이명박 대통령보다 최대 20분이나 늦게 상황을 파악한 점 등 초기 지휘부 공백과 기강해이에 대해 강도높은 감사가 이뤄질 전망이다.
또 해군이 초기 구조작업에서 제대로 대처했는지와 함께 군의 위기대응 시스템에 이상이 없는지도 집중적으로 살펴볼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사건 당시 해경이 주도적으로 생존자 58명을 구조하는 동안, 해군은 1명도 구조하지 못했고, 함미가 사고발생 사흘이 지나서야 발견되는 등 군의 초동조치가 미흡했다는 지적이 계속 지적됐기 때문이다.
감사원은 이번 천안함 사건의 경우 국민적 관심이 높은 사안인 점을 고려, 중간 감사결과를 발표할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감사원 관계자는 “감사에서 어떤 예단을 두지 않고 철저하고도 주도면밀하게 감사를 진행할 예정”이라며 “아직 투입인원이 정해지지 않았지만, 사안의 중대성을 고려해 인원 확충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