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첩혐의 정씨, 공작원통해 김정남 연계”

▲ 김정일의 장남 김정남

▲ 김정일의 장남 김정남

간첩 혐의로 10일 구속된 화교 무역상 정모(67)씨가 5년 동안 북한에 넘긴 국내 각종 자료를 보면 북한 최고위층이 국내 언론의 북한 권력층 보도에 상당한 관심을 갖고 있었다는 추정을 가능케 해 주목된다.

여러차례 사업에 실패했던 정씨는 1986년께 대만의 친구 소개로 마카오에서 북한 공작원인 조모(중국동포)씨를 처음 알게 된 뒤 신분이나 자금 출처를 의심하면서도 중국, 북한과 무역에 도움이 될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에 조씨와 친분을 유지했다.

국가정보원이 검찰을 통해 청구한 영장에 조씨는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장남 김정남과 연계돼 활동하는 공작원으로 적시돼 있고, 국내 포털에 개설한 e-메일 계정을 압수수색한 결과 가명을 사용한 김정남과도 e-메일을 주고받았던 것으로 드러났다.

현정부 들어 간첩혐의가 적용된 사건은 이번이 3번째라는 점도 눈길을 끄는 대목이다.

◇ 김정남, 한국언론 보도에 촉각(?) = 정씨가 2001년 초 국정원이 북한의 해외공작거점으로 지목한 중국 내 Y상사를 통해 조씨에게 처음 보낸 물건은 국내 전자업체가 생산한 노트북, 데스크톱 컴퓨터였다.

이후 2001년 5월 김정남이 일본에 밀입국하려다 추방당한 사실이 대대적으로 언론에 보도된 뒤 정씨는 조씨의 요구로 추방 사실을 보도한 주간지와 월간지를 소포로 보냈다.

당시 언론에는 김정남의 일본 밀입국 사건 전말과 북한의 후계구도와 관련된 보도가 쏟아지고 있었다.

정씨는 김정남과 관련된 방송 뉴스까지 녹화한 테이프도 보낸 것으로 조사됐다.

정씨는 같은해 10월 김정남과 관련, 조총련과 야쿠자의 커넥션 의혹을 다룬 월간지와 북한을 집중적으로 다룬 언론사 연감도 조씨의 요구로 구입해 발송했다.

◇ IT 분야 책도 대량 수집 = 이듬해부터 정씨가 보낸 자료는 정보통신(IT) 분야로 다양해진다.

정씨는 이때부터 정보 통신 관련 월간지와 백서, 연감, 인명사전 등을 구입해 Y상사로 보냈다. ‘주문서’는 집에 설치된 팩스를 통해 받았다.

신상옥ㆍ최은희씨 부부가 납북 경험담을 쓴 책자, 반북 활동가 폴러첸씨가 북한의 참담한 생활상을 폭로한 책자 등도 수집 대상이었다.

정보통신분야 책자 중 일부는 판매 총판을 통해서만 구입할 수 있거나 회원에게만 한정 판매하는 것 등 구입하기 까다로웠던 책들도 있었다.

정씨는 또 최신 통신기기, CDMA(코드분할다중접속) 무선기술 등 전자ㆍ통신 관련 책자 21권과 해킹, 컴퓨터 보안 관련 책자 13권도 보냈다.

나중에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연감의 한글판과 CD, 도로관광 안내도, 세계의 특수부대를 다룬 책자도 수집 목록에 올랐다.

2002년 말에는 Y상사의 요청으로 4종류의 월간지와 여성잡지 정기 구독을 신청하기도 했다.

정씨는 최근까지도 김정일 위원장과 관련된 책자와 월간지를 Y상사에 보내다 자신을 추적해온 국정원에 덜미를 잡혔다./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