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 : 매주 수요일 북한 경제를 알아보는 ‘장마당 동향’ 시간입니다. 이 시간에는 강미진 기자와 함께 북한 장마당 상황 알아볼 텐데요. 먼저 ‘한 주간 북한 장마당 정보’ 듣고 강미진 기자 모시겠습니다.
지난주 북한의 쌀값과 환율을 비롯해 북한 장마당에서 팔리는 물건 가격 알려드립니다. 먼저 쌀 가격입니다. 평양에서는 1kg 당 5150원에 신의주에서는 1kg 당 5200원에 거래되고 있고, 혜산은 5500원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다음은 환율입니다. 달러는 1달러 당 평양과 신의주는 8,200원 혜산은 8,155원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이어서 옥수수 가격입니다. 평양과 신의주에서는 1kg 당 2000원, 혜산에서는 2300원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돼지고기는 1kg 당 평양 14000원, 신의주 14000원, 혜산 15000원입니다. 이어서 기름 가격입니다. 휘발유는 평양과 신의주에서는 1kg당 9300원, 혜산에서는 8500원에 거래되고, 디젤유는 1kg당 평양 5100원, 신의주 5300원, 혜산은 5500원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한 주간 북한 장마당 정보’였습니다.
1. 요즘 북한 물가를 보면 가격이 조금씩 상승하고 있다고 봐야 할 것 같은데요, 강 기자, 이유가 무엇이라고 보십니까?
네, 최근 북한 내부 소식통들이 전해오는 소식에 따르면 가물(가뭄)과 더불어 극심한 무더위로 일부 물가들이 상승하는 모양새를 보이고 있다고 합니다. 또한 시기성 상품들이 잘 팔리고 있다는 소식도 있습니다. 이 시간에는 북한 시장에서의 물가상승과 주민들에 조금이나마 기쁨을 주고 있는 일부 시기성 상품들이 잘 팔리고 있다는 이야기를 하려고 합니다.
2. 이렇게 더운 7월은 북한 주민들이 생계를 꾸려나가기 어려운 시기라고 볼 수 있겠는데요. 그런 의미에서 가격이 많이 상승하지 않았으면 좋을 것 같은데, 현재 가격이 상승한 물품들은 어떤 것들인가요?
네, 현재 오르고 있는 상품들은 대부분 식품과 남새(채소) 등 식생활과 직접적으로 연관된 상품들이라고 합니다. 주민들이 아침저녁으로 먹는다고 해도 틀린 말이 아닌데요, 배추 같은 경우는 지난달 말경보다 500원에서 600원 가량 상승했습니다. 그리고 오이는 제철임에도 불구하고 3000원을 한다고 소식통이 전했습니다. 여름철 무더위를 날려 보내는데 한 몫 단단히 하고 있는 갓나물도 1kg당 2500원을 한다고 소식통이 전했습니다. 갓김치 먹기도 힘들다는 것이 주민들의 한숨 섞인 말입니다.
3. 이렇게 주민들이 쉽게 접할 수 있는 남새들의 가격이 상승하게 되는 경우 판매자들은 판매자들대로 속상하고 구매를 하는 주민들의 마음도 그리 밝지만은 않을 것 같은데, 이에 대해 어떻게 대처하고 있습니까?
네, 구매자나 판매자나 속상한 것은 마찬가지겠죠, 북한에서의 경험으로 볼 때 한창 남새가 오를 때엔 장마당을 이용하기보다 농촌 쪽으로 이동하여 구매하면 상대적으로 싼 가격에 남새를 살 수 있답니다. 저는 주로 농촌에서 살았고 도시에서 살 때에도 텃밭이 있는 지역에 살았기 때문에 남새걱정을 안 하고 생활했는데요, 오히려 도시 중심에 있는 아파트에서 살고 있는 친인척들에게 보내주느라 배추나 무, 오이 토마토도 더 많이 심었거든요. 그리고 또 농촌에서 사는 주민들이 시장에다 넘겨주는 가격보다 이익을 보려고 주민들의 집을 돌면서 판매하는 경우도 있는데 시장 가격보다 싸기 때문에 구매하는 주민들이나 판매하는 주민들이 서로 공감하는 가격으로 매매가 이뤄지기도 합니다.
4. 그렇다면 농촌에서 살고 있는 주민들은 굳이 장마당 남새를 사지 않아도 되겠네요. 좀 전에 말씀했던 것처럼 도시 주민들이 농촌 쪽으로 이동해서 구매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겠습니다. 한국의 일부 가정들에서는 농촌에 살고 있는 부모들이 도시에 사는 자식들에게 남새 같은 것도 챙겨주는데, 북한은 어떻습니까?
자식을 걱정하는 마음이야 남이나 북이나 뭐가 다르겠습니까? 부모가 자식을 챙겨주는 것도 있고 일부 친인척들까지 챙겨줘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요. 저도 도시 가까운 지역에서 살다보니 친구들 친인척들도 이따금씩 와서 남새를 달라고 하면 주기도 했답니다. 근데 사람 마음이 참 이상할 때가 있더라구요, 저도 제 마음이 미울 때가 있는데요. 시장에 나가보면 남새 가격을 어느 정도 알잖아요? 그런데 저의 집에 와서 남새를 가져가는 사람이 설사 친인척이라고 해도 공짜로 가져가면 정말 미울 때가 있더라구요. 대부분 북한 주민들은 남의 것을 공짜로 먹으려고 하지 않거든요. 다 힘든 시기를 거쳤고 또 현재도 살고 있기 때문에 얄밉게 보이지 않으려고 하는데 사람이 다 그런 건 아니잖아요, 일부러 얄미운 사람에게는 남새를 푼푼(넉넉)하게 주지 않았는데 돌려보내고 나면 후회가 되고 제 마음이 더 얄밉더라구요.
5. 장마당에서 잘 팔리는 남새들은 주로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현재는 더운 때라 냉면도 잘 팔리는 상황이기 때문에 고명이나 냉국에 많이 쓰이는 오이가 잘 팔립니다. 지금은 오이를 한창 따먹을 때거든요, 이런 때임에도 불고하고 오이 가격이 상승하는 이유는 그만큼 오이구매자가 많다는 것을 말해주는데요, 오이가격이 1kg당 3000원이잖아요? 아마 지금보다 오이 가격이 더 올라간다고 해도 잘 팔리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또 갓도 잘 팔린다고 하는데요, 오이는 냉면을 만드는데 필요하다면 갓은 김치를 담가 먹는 것이기 때문에 잘 팔리지 않을까요? 한민족이 김치를 좋아하는 것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니까요. 저도 전해에 담궜던 김치가 떨어지는 시기인 5월부터 7월까지 갓김치를 주로 담가먹었던 기억이 납니다. 갓 김치는 쩡한 맛으로 더위가 한방에 날아가거든요. 지금도 입안에 군침이 고이네요.
6. 날이 무척이나 덥습니다. 한국에서는 여름철 더위를 날려 보내는 데는 아이스크림만한 것이 없습니다. 북한에서도 유행이라고 알고 있는데, 요즘은 어떤 상황인가요?
북한에는 아이스크림을 흔히 까까오라고 부른답니다. 현재 양강도 혜산시장에서 팔리는 까까오의 가격은 300원, 500원 그리고 1000원짜리도 있는데요. 300원, 500원짜리는 얼음물이라고 보시면 되구요. 1000원짜리에는 우유도 들어가고 설탕도 넣는다고 합니다. 한국에서처럼 맛에 따라 영양가에 따라 구매자가 다르지만 북한실정에서는 맛좋은 것만 먹을 수 없답니다. 생활이 여의치 않고 지금은 더구나 보릿고개이다 보니 대부분 싼 것으로 구매자들이 몰린다고 하네요.
7. 한국에서는 아이스크림이나 수십 가지여서 불리는 이름도 다 다릅니다. 북한은 어떤가요?
북한도 여러 종류가 있긴 하지만 가지 수가 한국보다는 적습니다. 주로 평양이나 원산, 함흥 등 대도시들에서 여러 종류가 판매가 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구매자가 많지 않다는 점이 한국과 확실히 다르다는 것이죠. 까까오는 지역이나 산골에서도 만들어 팔기도 하는데요, 전력사정으로 그것마저도 어렵다는 것입니다.
까까오 말고도 그냥 얼음을 만들어 파는 것도 있는데 지역에 따라 색소와 사카린을 타서 만든 얼음도 있구요, 양강도 지역처럼 들쭉이 나는 곳에서는 들쭉원액을 타서 얼린 얼음도 인기가 많답니다. 아무 곳에서나 공통인 것이 서민식품이 가장 잘 팔리잖아요? 북한에서도 서민식품이 인기가 많아 얼음물도 잘 팔리는거죠.
8. 언젠가 한 탈북자에게서 단물장사를 했다는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는데요, 그렇다면 단물도 잘 팔리는가요?
네, 그러고보니 저의 딸애도 까까오보다 단물을 많이 사먹었던 기억이 납니다. 단물은 주로 들쭉 원액을 풀어 넣고 사카린을 타거든요, 거기다 얼음덩어리를 크게 만들어 넣고 판매하는데요, 한 컵에 100짜리, 200원짜리로 컵의 크기에 따라 가격이 조금씩 차이가 있답니다. 이런 얼음은 주로 이가 불편한 주민들과 연세가 있으신 분들 그리고 애기들도 사먹기 때문에 생각 외로 잘 팔린답니다. 얼음이든 까까오든 냉수든 더위를 날려 보낼 수 있는 것이라면 주민들의 구매가 몰릴 수 있지 않을까요? 단물 장사꾼들은 얼음이 녹으면 단물이 잘 팔리지 않기 때문에 얼음을 요구량만큼 구매해놨다가 녹으면 가져다 쓰기도 하는데요, 저의 친구 어머니도 얼음물 장사를 했었는데 지금도 친구 어머니가 했던 말이 생생합니다. 얼음 그대로 있는 것은 잘 녹지 않는데 단물 통에 넣은 얼음은 왜 이렇게 빨리 녹는지 모르겠다며 사람 사상도 하나면 변질 안 되지만 다른 사상이 조금이라도 머릿속에 들어오면 변질이 빨리 되겠지 하셨거든요
그 때는 그 말에 숨어 있는 뜻을 빨리 알아듣지 못했는데 지금 생각하면 생활의 풍파를 다 겪었던 어머니들은 이미 저희들보다 먼저 북한 사회에 환멸을 느끼신 것 같아요.
9. 처음부터 궁금했는데요, 까까오 장사꾼들이나 얼음물 장사꾼들은 시장 안에 매대가 배정되어 있는가요?
저도 지나칠 뻔 했는데 잘 질문해주셨네요. 통상적으로 개인들이 얼음물이나 까까오를 판매하는 경우는 매대가 없이 길거리에서나 돌아다니면서 판매를 합니다. 물 장사꾼들도 장마당 길거리 한 켠에 자리를 잡고 판매를 하는데요, 이런 상황을 상상해보세요, 사람들이 복잡하게 다니는 길거리에 까까오 장사가 떡하니 자리를 잡고 있으면 주변 사람들이 불편을 안 말하고 못견디겠죠? 그리고 장사가 잘 안되면 장사꾼들의 불쾌지수 또한 높을 거잖아요. 그러다보면 자리도 없이 길거리에 앉아 까까오를 판매하고 있는 장사꾼에게 미운 말이 가는거죠. 자리에서 일어나 다른 곳으로 가라고 안가면 시장관리원에게 말해서 쫓겨나게 하겠다는 등의 말도 서슴지 않게 하거든요. 하지만 매번 자리 때문에 옥신각신 하기가 그러니까 서로가 피해를 주지 않는 방향에서 장사를 하려고 하는데요. 까까오나 얼음장사들은 시장 밖에 자리를 잡거나 길거리에서도 판매를 합니다.
10. 그렇군요, 북한 장마당에서 공식 매대 없이 장사하는 장사꾼들은 주로 까까오 장사처럼 시기성을 띠는 장사꾼들이겠네요,
네 그렇다고 보시면 됩니다. 까까오 장사꾼들은 주로 시장 밖에서 자리를 잡고 판매를 하는데요, 까까오라든가 빨간 무 같이 어느 한 시점에만 등장하게 되는 품목들을 판매하게 되는 장사꾼들은 공식 매대가 없답니다. 그러다보니 자연히 밖에서 자리를 잡고 판매하게 되는데요, 이런 시기성을 띠는 장사꾼들이 까까오나 남새 장사꾼들은 시장매대가 없는 것을 한탄하지도 않는답니다. 왜냐면 까까오 장사꾼 같은 경우는 여름 한 철 잘 벌기만 하면 다른 장사꾼들 못지않는 돈을 벌기도 하니까요, 그리고 까까오나 남새 같은 시기성 장사꾼들은 계절에 따라 장사를 해야 하는 것만큼 이동성이 원활한 밖에서 장사하는 것을 오히려 좋아하기도 한답니다.
11. 길거리에서 판매하는 까까오 장사꾼들에 대한 단속은 없나요?
단속이 있을 때는 길거리 장사꾼들은 까까오뿐만 아니라 전체를 단속하는 것이 북한 보안서나 관련 당국의 행보인데요. 대부분 까까오는 길을 가던 주민들이나 시장을 찾는 주민들이 쉽게 구매할 수 있는 입구나 시장 밖에서 판매를 해야 편리하다는 것을 구매자나 판매자도 모두 잘 알고 있기 때문에 밖에서의 상행위를 크게 단속하지는 않는답니다. 다만 보안서 규찰대 등이 다른 단속을 강행 하게 되면서 함께 단속대상이 되기도 하는데요, 북한 주민들은 그런 일을 한두 번 당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이런 단속에 잘 대응하기도 하죠.
혹시 메뚜기 장사라고 들어보셨나요? 까까오 장사꾼들도 일명 메뚜기 장사꾼에 속하게 되는 거죠.
12. 네. 마지막으로 메뚜기 장사가 뭔지 설명 부탁드립니다.
네 북한 주민들 사이에서는 흔히 메뚜기라고 불리는데요, 메뚜기는 잠시 앉았다가 주변에 사람이나 동물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뛰는 습관을 가지고 있잖아요? 그런 유사한 행동으로 매대가 없는 장사꾼들이 일정한 장소에서 장사를 하다가 보안원이나 단속원이 오면 순간에 도망을 치듯 뛰어가는 장사꾼들의 행동을 메뚜기에 비겼고 이들을 메뚜기 장사꾼이라고 하거든요, 최근 몇 년간을 북한에서 메뚜기 장사꾼들이 마음 놓고 장사 할 수 있다고 하는데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주민들이 마음 놓고 상행위를 할 수 있게 됐으면 하는 바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