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다음 달 발사할 장거리 로켓의 1차 추진체가 우리나라 서해상에 떨어질 것으로 예상돼 한·미 군 당국이 로켓 궤도를 추적해 잔해를 회수키로 했다.
북한이 19일 국제민간항공기구(ICAO)와 국제해사기구(IMO)에 통보한 자료에 따르면 ‘광명성 3호’를 계획대로 발사할 경우 1차 추진체는 변산반도 서쪽 140여㎞ 지점 공해상, 2차 추진체는 필리핀 동쪽 190㎞ 공해상 등에 각각 떨어질 전망이다.
한미 군 당국은 광명성 3호가 발사될 경우 궤적과 1차 추진체 낙하지점 추적을 위해 정찰위성, 이지스함 등을 동원할 예정이다.
현재 해군은 1000㎞ 이상을 비행하는 물체를 실시간 추적 가능한 세종대왕함, 율곡이이함 등 이지스함 2척을 실전배치했다.
세종대왕함의 경우 지난 2009년 북한 대포동 2호 발사 당시 궤적을 정확히 추적하는데 성공한 바 있다.
군 관계자는 “광명성 3호의 궤도와 1차 추진체의 낙하지점을 정확히 알아내 추진체 잔해를 수거할 경우 북한의 미사일 발사 기술이 어느 정도인지 분석할 수 있을 것”이라며 “잔해수색 및 회수작전에는 최신 기뢰탐색함과 특수 잠수요원을 투입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서해는 수심이 평균 40m로 비교적 얕아 추진체의 낙하지점만 알아내면 잔해수거에는 큰 어려움이 없다는 게 전문가들의 전언이다.
한편 광명성 3호 로켓의 잔해 등이 우리 영해나 육지로 떨어질 만약의 사태에 대비해, 정부와 군 당국은 ‘항공고시보(Notam·Notice to Airman)’를 통해 위험지역을 항해하는 항공기, 선박 등에 사전 경고를 통보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