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가진 뒤 공동기자회견에서 이같이 말하고 “두 정상은 북핵 및 천안함 사태에서 한미 양국이 유지한 긴밀한 공조체제를 더욱 강화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어 “북한의 완전하고 검증가능한 비핵화가 동북아 번영을 위한 필수요건”이라며 “양국 정상은 북핵 문제 및 천안함 사태도 논의했는데 북한의 완전 검증 가능한 비핵화가 필수 요건이란 점도 재확인했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북한이 진정한 핵 포기 의지를 조속히 보여준다면 포괄적이고 근본적으로 북핵을 해결 할 수 있다는데 인식을 같이 했다”며 “이를 위해 6자회담에 협력하는데 노력을 경주키로 했다”고 말했다.
오바마 대통령도 6자회담과 관련, “적절한 시기에 6자회담을 다시 시작할 수 있는 시점이 올 것이라는 데 한미는 합의했다”면서 “그러기 위해서는 북한의 진정성 있는 변화를 우리가 보아야 한다. 북한이 준비가 되었다는 증거가 보인다면 대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오바마 대통령은 특히 “(북한과) 대화를 하기 위해 상당한 노력과 시간이 필요하다”면서 “그동안의 움직임도 아니고 똑같은 결과를 기대하지 않으며, 우리는 계속 개입해서 북한이 비핵화를 위해 진정성을 보이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북한은 비핵화를 향한 되돌릴 수 없는 방향으로 가겠다는 선택을 하면 한미를 비롯해 전 세계가 상당한 원조를 할 것”이라며 “이렇게 되면 북한은 국가를 발전시키고, 장기적으로 안보에 도움되는 방향으로 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그는 “북한이 비핵화의지를 보이지 않고 도발하면 세계사회에서 고립되고 발전하지 못할 것이며, 북한 주민들에게 고통을 준다”면서 “나는 이 대통령과 (이러한 문제에) 완전한 합의를 가지고 북한에 메시지를 보냈다”고 말했다.
그는 또 “6지화담은 아주 소중한 포럼으로서 북한을 개입시키고 책임 있는 행동을 하게 만든는 포럼으로 2005년 긍정적인 움직임이 있었지만 이후 후퇴해 대화를 위한 대화로 실질적인 북한의 변화를 보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한미동맹과 관련, 이 대통령은 “오바마 대통령과 나는 현재 한미동맹이 어느 때보다 공공한 상태라는데 인식을 같이 하고 이를 더 강화키로 했다”며 “양 정상은 지난해 6월 합의한 미래동맹비전에 따라 한미동맹을 미래지향적으로 심화 발전시키는데 역할을 다 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오바마 대통령도 “우리는 만날 때마다 한국과 미국의 관계는 절대 끊어질 수 없다는 것을 확인한다. 안보는 한국의 미래와 경제 기적을 이루게 했다”면서 “미국의 대한민국에 대한 안보 의지는 절대 흔들리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