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中 외교장관 회담…北 UEP ‘안보리 논의’ 이견 여전

중국을 방문 중인 김성환 외교통상부 장관은 29일 양제츠 외교부장과 한·중 외교장관 회담을 갖고 북핵 및 한반도 문제 등을 논의했다.


김 장관은 특히 북한의 우라늄 농축프로그램(UEP)이 유엔 안보리 결의 위반이라는 것을 강조하고 중국의 협조를 요청했다.


반면 양 부장은 “북핵 문제 전반에 걸쳐 긴밀하게 협의하자”는 기존 입장을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은 그동안 북한 UEP 문제도 6자회담에서 논의해야 한다면서 안보리에서의 대응을 사실상 반대해왔다.


양 부장은 이 외에도 북한 어민 송환 등 최근의 남북관계를 긍정적으로 평가한 뒤 “남북대화의 진전을 기대한다”는 입장도 밝혔다.


김 장관은 또 일본 원자력발전소 사고를 거론하며 북한 핵시설의 안전성 문제와 관련한 한·중 협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이에 대해 중국은 북핵 관련 양측간 소통을 계속 긴밀히 해 나가자고 밝혔다.


한편 김 장관은 이날 특파원들과 가진 간담회에서 “왕자루이 당 대외연락부장에게 북한이 남한을 대화 상대로 생각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했다”며 “경제적 이득은 남한으로부터 취하려 하고 군사, 핵 문제는 미국과 대화하겠다는 것을 국민들은 받아들일 수가 없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김 장관은 “북한과 대화가 열린다면 전진을 전제해야지 만나서 사진 찍고 헤어지는 회담은 유용성이 없다는 뜻을 중국 측에 전했다”고 강조했다.


그는 “그동안 우리는 정말 북한을 돕겠다는 진정한 뜻이 있는데 북한은 모든 걸 전략적으로 접근하는 듯하다”며 “진정성을 말하는 것은 바로 이런 것이 바뀌어야 한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6자회담 재개 시점과 관련해서는 “북한이 진지한 태도를 보이는 것이 중요하다”며 “과거처럼 얘기만 하다 아무 결과없이 헤어진다면 우리 뿐 아니라 다른 나라도 곤란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이번 김 장관의 방중은 한중 외무장관 정기교류 합의에 따른 것으로 지난 2월 양 부장의 방한에 따른 답방 형식이었다. 김 장관은 30일 오전 귀국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