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은 10일 정상회담을 갖고 북한의 비핵화를 위해 의미있는 대화 재개를 위해 협의키로 합의했다.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참석차 중국 베이징(北京)을 방문 중인 박 대통령은 이날 오전 인민대회장에서 한중 정상회담에서 이 같은 의견에 합의했다고 주철기 청와대 외교안보수석이 전했다.
이번 한중 정상회담은 지난 7월 이후 약 4개월 만이며, 박 대통령 취임 후 5번째이다.
박 대통령은 “북한 비핵화의 실질적 진전과 핵능력 고도화를 차단하기 위한 의미있는 대화 재개를 위해 창의적이고 다양한 방안을 협의하자”고 말했다고 주 수석은 말했다.
박 대통령은 이어 “북한이 핵을 포기하지 않는 한 경제발전을 이룰 수 없다는 점, 북핵이 오히려 북한의 안보를 약화시킨다는 점, 북핵이 자체 고립만 가속화한다는 점을 인식해 북한이 핵포기의 전략적 선택을 할 필요성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박 대통령은 “북한이 핵포기라는 전략적 결단을 내린다면 국제사회와 협력하여, 북한이 세계경제에 참여하고, 평화롭게 발전할 수 있도록 도울 준비가 돼 있다”면서 “북한이 이러한 방향으로 변화해야만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박 대통령은 최근 남북관계 및 남북관계 개선과 한반도 통일기반 구축을 위한 우리 정부의 노력에 대해 소개한 뒤 “앞으로도 북한의 태도 변화 유도를 위한 중국의 적극적인 지지와 건설적인 역할을 기대한다”고 당부했다.
이에 북한 핵에 대한 명확한 반대와 유엔 안보리 결의를 철저히 준수한다는 입장을 분명히 재천명했다”고 주 수석이 전했다. 시 주석은 이어 “북한을 지원하기 위해 같이 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겠다”면서 “남북대화와 협상, 관계개선을 지지하며 남북 간 화해,협력을 통한 평화적 통일을 지지한다”고 말했다.
한편 박 대통령은 지난 9월 서울에서 개최된 한중일 3국 고위급 회의에서 그간 정체됐던 3국 협력을 정상화하기로 한 것을 평가했으며 두 정상은 이를 바탕으로 연내 한중일 3국 외교장관회의 개최 필요성에 대해서도 인식을 같이 했다고 주 수석은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