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ㆍ중 양국이 6일 파키스탄 이슬라마바드에서북핵 6자회담 수석대표간 회동에 이어 외교장관회담을 갖고 북핵 문제와 일본의 교과서 왜곡과 관련, 대일 공조 여부 등을 논의할 것으로 보여 주목된다.
이날 회담은 5일 일 문부성의 교과서 검정결과가 ‘독도는 일본 땅’이라는 주장을 포함했는 가 하면, 난징대학살을 제대로 기술하지 않는 등 전반적으로 ‘개악’된 것으로 평가되면서 양국 국민들의 대일 감정이 극도로 악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열린다는 점에서 국제무대 협력 등 공조방안을 어느 수위에서 논의할 지 관심거리다.
또 6자회담 수석대표 회동에서는 강석주(姜錫柱) 북한 외무성 제1부상의 방중 이후 북핵 6자회담 재개 방안이 집중 논의될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강 부상은 김정일 국방위원장과 직통하는 ‘실질적인’ 북핵문제 사령탑으로, 방중기간에 장기 표류중인 6자회담과 관련해 모종의 메시지를 중국에 전달했을 가능성이 커 이날 양국의 잇단 회동을 통해 북핵 논의가 급물살을 탈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 일각에서는 강 부상의 방중이 콘돌리자 라이스 미 국무장관의 대북 메시지 전달에 이어, 박봉주 내각 총리의 방중으로 북-중간 1차협의가 이뤄진 이후 진행됐다는 점에서 북한의 ‘전략적 선택’ 발표가 임박한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 북핵 논의 급물살 타나 = “중대한 국면을 맞고 있다”.
정부 당국자는 강 부상의 방중과 관련, “호전될 지, 악화될 지 아직은 모른다”며 “논의가 집중되고 있는 현 상황이 6자회담의 향배를 가를 고비”라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이어 “한중간 6자회담 수석대표, 외교장관 회담을 하고 나면 강 부상과의 협의 내용을 상세히 들을 수 있어, 북핵 문제와 관련한 북한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북한은 지난 번 콘돌리자 라이스 미 국무장관이 동북아 3국 순방에서 “북한은 주권국가” “북한이 끝내 회담에 복귀하지 않을 경우 다른 선택을 할 수 있다”는 이중적 메시지를 전한 이후, 같은 달 31일 외무성 대변인 성명을 통해 “6자회담은 군축회담이 돼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을 뿐 아직 회담복귀와 관련해 아무런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다.
한 전문가는 “강 부상이 직접 나서 중국을 방문해 협의한 점에 주목해야 한다”며 “북한이 ‘큰 틀’에서의 교통정리를 위해 강 부상을 보낸 것으로 봐야 하며 회담재개를 위해 보다 구체적인 조건과 명분 조성을 요구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이렇게 볼 때 이날 한중 6자회담 수석대표간 회담에서는 작년 6월이후 10개월 가까이 열리지 못하고 있는 제4차 6자회담의 조기 재개를 위한 양국의 적극적인 역할 및 방안에 관해 집중 협의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한-중 협의 직후인 7일에는 반기문(潘基文) 외교장관과 마치무라 노부타카 (町村信孝) 외상간의 한일외교장관 회담이 열리고, 그 이후에도 한미 채널도 가동될 것으로 보여 향후 북핵 논의 행보가 빨라질 전망이다. /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