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는 20일 정부의 PSI(대량살상무기확산방지구상) 전면 참여를 둘러싼 논란에 대해 “지난 정권에서 이 문제가 마치 북한을 자극하는 것처럼 이슈화해서 이렇게 된 것”이라고 밝혔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이날 오후 기자들과 만나 “여러 상황으로 (PSI 가입을) 미룬 것에 대한 비판은 수용하겠지만, 그럴 사안이 아니다. 호들갑 떨면서 가입하느니 전면철회하느니 할 일이 아니다”며 이같이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관계자는 “94개국이나 가입한 것인데 우리만 안 하면 그게 이상한 것 아니냐”며 “사실 이 문제는 편지 한 장 보내면 끝나는 일이다. 그러니 자꾸 본말을 호도할 가능성이 있는 질문은 하지 말고 정부에 맡겨 달라”고 요청했다.
그는 또한 “모든 가능성을 열어 두고 있지만 개성공단에 억류돼 이는 유 모 씨의 신병인도가 즉각적으로 이뤄져야 한다는 점 등 몇 가지 핵심 사안에 대한 원칙은 분명하다”며 “대통령도 꾸준히 강조했듯이 원칙에 입각하되 의연하고 당당하게 가겠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남북관계 경색을 원하는 게 아닌 만큼 개성공단이 계속 유지돼야 한다는 입장, 남북대화가 계속 돼야 한다는 실용적 입장에는 변함 없다”며 “여러 가지 다양한 상황이 예상되지만 그런 상황에 대응하되 원칙은 변함없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 관계자는 이 대통령이 이날 오전 청와대에서 긴급 소집한 외교안보관계장관회의와 관련 “이쪽부터 저쪽까지의 가능성을 열어 두고 예단하지 않고 가겠다는 것”이라며 “국방부 측에서 최근 북한에 특이한 군사적 동향은 없다고 보고한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21일 열리는 남북 당국자간 접촉에 대해서는 “어떤 회담을 두고 막연히 ‘잘 될 것’이라 보는 것도 문제겠지만 가장 비관적인 예측을 근거로 할 필요도 없다”면서 “오늘 회의 참석자들에게서 ‘북한이 발언 수위를 높여 가며 위협적 언사를 하는데도 국민들이 동요하지 않고 성숙하더라’는 평이 나왔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