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현 청와대 홍보수석은 7일 북한의 남북 당국 간 회담 제의에 관련 “회담을 통해 신뢰기반이 쌓이고 바람직한 남북관계가 정립됐으면 한다”고 밝혔다.
이 수석은 이날 오전 청와대 춘추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양측에서 당국자 회담 제의와 수용이라는 진전이 있었기 때문에 그와 관련된 후속조치도 계속 이어지지 않겠냐”며 이같이 말했다.
이 수석은 회담을 서울에서 장관급으로 12일에 하자고 제안한 것은 박근혜 대통령의 의중이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느냐는 질문에 “(류길재 통일부 장관의 회담제의에 앞서 열린 청와대 안보관련 회의) 결과에는 대통령의 뜻도 함께 포함된 것”이라고 답했다.
회담 시 북한 대표단이 박 대통령을 면담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일단은 당국 간 회담을 하자는 것이며 그것과 관련된 논의는 남북 간 대화의 진전에 따라 또 다른 진전된 의견교환이 이뤄져야 한다”며 “지금 구체적으로 결정된 것은 하나도 없다”고 말했다.
이 수석은 북한이 7·4 남북공동성명 공동기념행사를 제의한 것에 대해서는 “41년 전 공동선언이 북한에 의해 언급된 것은 이례적”이라면서도 “이와 관련 의미를 부여하는 것은 전문가들이 하는 게 낫다”고만 말했다.
우리 정부가 북한의 ‘남남갈등’ 조장 이유로 불허한 6·15 공동선언 기념행사 공동개최와 관련 “회담이라는 게 미리부터 어떤 것은 되고 어떤 것은 안 된다고 (정해 두고) 하는 것은 아니다”며 “일단 당국 간 회담을 하자는 데 양측이 동의한 게 가장 중요하고 그런 내용들은 회담 과정에서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한반도 신뢰프로세스’가 작동할 수 있는 상황이 조성됐다는 관측에 대해서는 “신뢰프로세스는 말 그대로 인내를 필요로 하는 것이며, 앞으로 당국 간 회담제의나 북한의 응답, 우리의 또 다른 응답이 진행되면서 그런 기조 아래 신뢰프로세스가 계속 추진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