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관진 국방부 장관은 21일 전날 실시한 연평도 사격 훈련은 영토 수호의 의지를 표명하기 위한 것이었다고 밝혔다.
이날 김 장관은 국방위원회 긴급현안보고에서 민주당 정세균 위원의 “이번 훈련은 통상적인 훈련이라고 보기 어려웠다”면서 특수한 목적이 있었던 것이 아니냐는 질문에 “이번 훈련은 이중목적을 지니고 있었다. 하나는 지난달 23일 중단된 사격훈련을 마무리하는 차원이었으며 또 다른 하나는 우리 영토를 수호하겠다는 의지의 표명이었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이번 훈련은 통상적 훈련의 성격도 있었지만 현재는 적들(북한군)이 NLL을 분쟁지역화하려고 하고 있기 때문에 우리는 이에 굴복할 수 없었다”면서 “그동안 해왔던 통상적인 훈련 목적과는 달랐지만 훈련 내용은 일상적이었다”고 답했다.
이에 정 위원은 “과거 훈련과는 달리 미군이 사격통제 명목으로 훈련에 동참했다”면서 일반적인 훈련이 아니었다고 다시 문제를 제기하자 김 장관은 “미군이 참여한 이유는 얼마 전 연평도에서 북한군의 도발이 있었고 이 때문에 혹 있을지 모르는 북한의 재도발을 한미연합 합동 관리차원에서 진행하려고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사격 훈련 전 예견됐던 북한의 도발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는 “북한의 도발 가능성은 배제하지 않는다”면서 “군은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는 것이 기본”이라고 답했다.
유승민 한나라당 위원의 “출렁거리는 국민들의 여론에도 북한의 기습도발에 단호히 대처할 수 있겠는가”라는 물음에는 “그런 상황이 온다면 국민의 여론에 얽매이지 않고 북한 도발에 대해 단호히 응징할 것”이라고 답했다.
또한 군 자휘관들의 현장 지휘 권한을 강화하겠다는 발언도 이어졌다.
김 장관은 “군이 현장 지휘에 취약하다는 지적이 있는데 각 지휘관들에게 합당한 권한과 임무를 부여해 현장 지휘 후 마무리하는 차원까지 발전시킬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