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관진 국방장관은 15일 강원도 고성군 최전방 초소가 뚫린 소위 북한군 ‘노크 귀순’ 사건과 관련해 “국민 여러분께 심려를 끼쳐 드린 점에 대해 국방장관으로서 깊이 사과드린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이날 오후 국방부 청사에서 대국민 사과문을 통해 “이번 귀순사건을 분석해본 결과 명백한 경계작전 실패와 상황보고 체계상 부실이 있었다”며 이 같이 말했다. 이어 “적시에 정확하게 알려 드리지 못해 국민 여러분께서 이해하시는데 혼선을 빚게 한 점도 있었다”고 덧붙였다.
김 장관은 이번 사건과 관련된 대규모 문책을 예고, “경계작전을 책임진 해당 사단장부터 대대장까지 지휘관을 중심으로 문책하고, 상황 보고를 부실하게 한 합동참모본부, 군사령부, 군단 참모 등은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문책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어 “전반적인 지휘책임을 물어 1군사령관과 8군단장은 엄중 경고하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합동참모본부 전비태세검열단장인 이영주 해병소장은 이날 오후 브리핑을 통해 “잘못이 드러난 상위 계급자 위주로 엄격하게 규정을 적용해 문책키로 했다”며 합참과 1군사령부, 8군단, 22사단 등의 관련자를 대대적으로 문책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문책 대상자는 중장 1명과 소장 2명, 준장 2명 등 장성 5명과 대령 5명, 중령·소령 각 2명 등 영관장교 9명으로 총 14명이 될 것으로 알려졌다.
김 장관은 최전방 소초의 병력 증강과 감시장비 증강 등의 후속 대책도 발표했다. 그는 “경계취약 지역을 정밀하게 재분석해 병력을 보충하고 감시장비와 철책을 최단시간 내에 보강하겠다”며 “현재 시험운영 중인 GOP(일반전방소초) 과학화 경계시스템을 조기에 구축하는 등 전방 경계작전 체계를 총체적으로 보완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상하급 부대간 참모 및 지휘계통으로 각각 최초, 중간, 최종 상황보고가 명확하고 유기적으로 이뤄지도록 기강을 확립하겠다”며 “이번 사건을 계기로 우리 군이 국민으로부터 신뢰를 회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