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관진 국방부 장관은 7일 북한의 생화학 공격에 대비한 백신과 방호대책을 종합적으로 연구·개발 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 장관은 이날 오전 국회 국방부 국정감사에서 김동성 한나라당 의원의 ‘북한의 생화학무기에 대한 백신을 보유하고 있느냐’는 물음에 이같이 답했다.
김 장관은 이어 “예산이 필요한 사업이기 때문에 시한을 언제까지 할 지 정확히 정하지 않고 있다”면서 “개발만 되면 큰 문제는 없을 것이지만, 아직 개발되어 있지 않다”고 설명했다. 그는 “미국은 상당 부분 백신을 개발했으며 주한미군도 탄저균 백신을 가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유사시 주한미군의 백신을 지원받을 수 있는 시스템이 되어 있느냐는 질문에는 “과거 협의가 있었지만 탄저균 백신은 질병관리본부에도 있고 우리가 개발하는 능력이 되기 때문에 자체 개발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국방부는 북한이 2,500~5,000t의 다양한 화학무기를 보유하고 있으며 탄저균과 천연두 등의 생물무기를 자체적으로 배양하고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한 것으로 평가했다.
한민구 합동참모의장은 육군의 유도탄방위사령부가 북한의 미사일 공격에 취약하다는 지적에 대해 “무기고와 탄약고 등은 미사일 방호가 가능하다”면서 “방어수단 중의 하나인 M-SAM(중거리 유도무기)와 L-SAM(장거리 유도무기)이 국방중기계획에 반영되어 있어 개발하는데 5~10년이 소요될 것으로 판단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북한의 공기부양정에 대한 대비책에 대해선 “북한이 도발을 해오면 서해도서쪽일 가능성이 높다”며 “서북도서 방어를 위해 적이 할 수 있는 모든 유형의 계획을 세워 전력을 보강하고, 연습을 통해 만반의 준비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