金국방 “北무인기, 제어장치 등 보완하면 자폭기능 가능”

김관진 국방장관은 4일 백령도와 경기도 파주에서 추락한 북한 무인 항공기와 관련, “북한 것으로 추정되는 무인기가 더 발전하면 자폭기능까지 갖출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 시급하게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 장관은 이날 국회 외교·통일·안보 분야 대정부질문에서 “현재는 초보적 정찰기능을 수행하는 무인기로 보인다”면서도 “향후 제어장치 등 고난도 기술을 습득하면 얼마든지 자폭기능까지 가능한 것으로 본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 장관은 이어 “그동안 소형 무인기 탐지에 소홀했던 점을 인정한다”며 “현재 초보적 사진촬영 정도라면 구글 사진과 유사한 수준이므로 아직 안보상에 심각한 위협으로는 평가하지 않지만 시간이 없으므로 빨리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강조했다.


북한의 핵무기와 관련해선 “핵실험을 한 지 7년이 넘어가고 있기 때문에 소형화 기술도 상당히 진척됐을 것으로 생각한다”며 우라늄을 이용한 핵무기를 만들 수준으로 평가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정홍원 국무총리도 대정부질문에서 북한의 핵무기 기술에 대해 “소형화 기술이 진전됐다는 데 결론을 내리고 있다”며 북한의 4차 핵실험 시 “안보리 등 국제사회와의 공조를 통해 강력한 징벌적 조치를 하는 노력을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