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는 천안함이 과거 우리 군이 설치한 기뢰 때문에 폭발했다는 일각의 주장을 28일 공식 부인했다.
원태재 국방부 대변인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1970년대 우리 군이 백령도 해역에 설치한 기뢰의 폭발 가능성 여부를 민간 폭발물 전문 업체에 의뢰했다”며 “과거 우리 군이 백령도 해역에 설치한 기뢰는 기술적으로 폭발 가능성이 없다”고 말했다.
우리 군은 1970년대 북한의 서해 상륙작전에 대비해 백령도 앞바다에 폭뢰를 개량해 육상에서 버튼을 누르면 폭발하는 기뢰를 설치했고, 이후 제거작업을 거쳤지만 일부가 남아있을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특히 원 대변인은 “당시 기뢰를 설치한 백령도 해역 해도를 확인한 결과 천안함이 침몰한 지역은 아닌 것으로 확인됐다”고 강조했다.
파편수거 작업과 관련, 원 대변인은 “현재 천안함이 폭발한 원점은 미세한 잔해물까지 수거작업을 진행 중이고 주변 탐색도 동시에 진행되고 있다”며 “함수 침몰지역은 폭발원점에서 한참을 떠내려간 곳이기 때문에 어선이 그물로 바닥을 긁어 잔해물을 인양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군 당국은 현재 330여 점의 파편을 수거해 분석작업을 벌이고 있지만, 아직까지 결정적인 물증은 확보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원 대변인은 또한 “오늘 오후에는 평택으로 이동한 함수를 육상거치대에 올려 본격적인 조사에 들어간다”고 말했다.
함미에 이어 함수도 육상거치대로 옮겨지면, 조사단의 폭발원인 규명 작업도 한층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우선 조사단은 함미, 함수 절단면에 대한 입체영상을 촬영해 맞춰본 뒤, 정확한 파손형태를 확인할 계획이다. 또 컴퓨터 모의실험을 통해 나온 무기별 폭발형태를 절단면 영상과 비교해 천안함이 어떤 무기의 공격을 받았는지를 규명한다는 방침이라고 군 당국은 전했다.
이와 별도로 조사단에 참여하고 있는 미국 전문가팀은 선체 절달면 사진을 미국 내 해군 전문분석시설로 보내 분석작업을 벌일 계획이다.
한편 민·군 합동조사단은 내주 초 천안함 절단면 등의 조사방법을 설명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