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들어 군 내에 ‘중국발(發) 인터넷 해킹’ 피해사례가 부쩍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국방위 소속 한나라당 김동성 의원은 8일 기무사령부 등으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 2004~2007년 인터넷을 통한 해킹은 매년 0~2건에 불과하지만, 올들어 8월 말 현재까지 5건의 해킹 사례가 적발됐다”고 밝혔다.
특히 “올해 5건의 침해 사례는 모두 이메일을 활용한 중국발 해킹인 것으로 드러났다”며 “군 관계자가 중국에서 발송된 이메일을 무심코 수신, 열람함으로 개인 컴퓨터에 저장된 군사자료가 유출되는 방식일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김 의원은 “이번 해킹이 중국을 통해 이뤄진 만큼 사실상 북한의 해커에게 당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으며, 어떤 자료가 얼마나 유출됐는지도 모르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국방부는 해킹에 노출된 책임을 물어 중국발 이메일을 열람한 군 관계자 5명에 대해 견책, 근신, 감봉 등의 인사조치를 취했다.
한편, 김 의원은 “북한의 경우 지난 1991년부터 전산요원을 적극 양성해 현재 500~600명 수준의 해킹 요원을 운영하고 있는 반면, 한국군의 침해사고대응반(CERT)인력은 9월 말 현재 237명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우리 군은 현재 방어 위주의 대응태세만 유지하고 있는데 앞으로 침해시도의 근원적 파악·차단·역추적을 통한 공세적 대응기술 등을 발전시켜 나갈 계획으로 알고 있다”며 “우리군은 첨단 정보통신을 이용해 업무를 수행하는 만큼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고 말했다.
한나라당 김성회 의원도 이날 국방부 국감에서 “우리 군에 대한 해킹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는 것은 북한이 첨단정보통신기술력에 있어서 우리군이 한미연합군에 비해 열세에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이를 무력화하기 위해 본격적으로 사이버 테러를 시도하려는 것 아니냐”고 우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