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 당국이 유사 시 우리 전산망을 공격하는 사이버 도발 원점을 공격할 수 있는 한국형 ‘스턱스넷(Stuxnet)’ 사이버 무기를 개발할 예정이다. 스턱스넷은 2010년 미국이 이스라엘과 함께 이란 우라늄 농축시설의 전산망을 무력화했던 컴퓨터 웜 바이러스다.
국방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국군 사이버사령부 발전 방안을 올해 안에 마련키로 했다고 19일 국회 국방위원회에 보고했다. 우선 1단계로 사이버사 심리전 수행 과정에서 정치적 중립을 지키기 위한 대책을 마련하고 2단계로 사이버 공격무기 개발 등 사이버전 수행 능력 강화 계획을 수립한다.
군 당국은 ‘한국형 스턱스넷’ 프로그램이 개발되면 북한의 사이버 공격에 적극 대응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또한 북한의 사이버부대가 우리 전산망을 침입했을 때 역으로 도발 원점을 공격해 무력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이를 위해 국방부는 오는 5월 합동참모본부 안에 ‘사이버방어과’를 신설하고 사이버사의 방어와 공격 작전을 총괄 지휘한다. 특히 국군사이버사의 심리전단 조직도 합참 작전본부와 군사지원본부 산하 지휘통신부로 이관할 계획이다. 현재 준장인 국군사이버사령관의 계급도 소장으로 한단계 상향조정한다.
국방부는 “현재 사이버사 임무는 대북 심리전 과정에서 인터넷 등에 대응 논리를 게시하는 수준에 머물고 있다”며 “심리전단 조직을 합참으로 이관한 뒤 국군 심리전단과 연계해 임무를 수행토록 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