軍 “北로켓 잔해 분석 착수…기술 파악 가능”

서해에서 인양한 북한의 로켓 잔해에 대한 민군 공동 분석 작업이 본격 착수될 예정이다.


국방부 고위 관계자는 14일 “국방부와 합동참모본부, 육·해·공군, 국방과학연구소(ADD)의 전략무기 전문가, 나로호 개발에 참여한 민간 전문가 등이 참여한 북한 로켓 공동조사단을 구성할 계획”이라면서 “소련·이란이 개발한 미사일을 분석한 경력이 있는 미국 전문가들도 기술자문위원으로 참여한다”고 밝혔다.


군 당국은 북한 로켓 잔해에 대한 분석을 통해 로켓 동체 재질, 1단 로켓 추진체의 추진력 기술 등을 파악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그동안 외부세계에 알려지지 않은 북한 로켓 연료의 성분 등도 알아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군 관계자는 “1단 로켓 엔진은 노동-B(무수단) 미사일 엔진4개를 묶어 제작했다”면서 “때문에 시험발사 없이 실전에 배치된 무수단 미사일의 실체·성능 등도 알아낼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해군 청해진함은 13일 오후 5시와 오후 9시 두 차례에 걸쳐 잔해 인양을 시도했지만 당시 강한 조류와 파도 때문에 실패했다. 이어 오후 11시 인양작업을 재개, 1시간26분 만에 해저 80m 지점에 가라앉아 있던 잔해 인양에 성공했다.


1단 추진체의 연료통으로 추정되는 잔해는 14일 0시 26분 해군 청해진함에 의해 인양돼 평택 2함대 사령부로 이송됐다. 이 잔해는 길이 7.6m, 직경 2.4m, 무게 3.2t으로 ‘은’, ‘하’라는 두 글자가 표기돼 있다. 이에 해군은 북한이 로켓 동체에 새긴 ‘은하 3호’의 파편으로 확인했다.


해군관계자는 “만약 세종대왕함이 낙하 위치를 정확히 식별하지 못했다면 인양 작업이 상당기간 소요됐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