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은 북한이 중국에 제출할 핵 신고서에 북한이 추출한 플루토늄의 총량과 완성한 핵탄두의 총 개수를 분명히 밝히도록 요구하고 있으며, 북한도 미국의 요구에 원칙적으로 동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22일 방북 예정인 성 김 미 국무부 한국과장과 미 행정부 실무팀은 북한의 플루토늄 추출량과 관련된 북핵 신고서의 명시 내용에 대해 협의할 것으로 예상된다.
21일 연합뉴스는 북핵 현안에 정통한 소식통을 인용 “미국은 북한의 입장을 고려해 우라늄농축프로그램(UEP)과 시리아와의 핵협력 의혹을 1972년 ‘미․중 상하이 공동성명’을 원용한 간접시인 방식으로 처리하는 대신 실질적인 위협대상인 플루토늄 항목에 대해 ‘검증을 확실하게 하는 내용’이 돼야 한다는 뜻을 (북한에) 전달했다”고 보도했다.
북핵 공식 신고서에 담겨야 할 플루토늄 관련 내용은 ▲플루토늄 총량 ▲핵 탄두 개수 ▲플루토늄 추출 과정과 직결되는 영변 5MW 원자로 등 관련 핵시설의 가동 일지 ▲핵 활동 관련 시설 목록 등으로 알려지고 있다.
북한은 이미 지난해 말 미국 측에 플루토늄 총량을 ‘30㎏ 수준’으로 밝히는 한편 핵탄두 개수나 핵개발에 사용한 플루토늄양 등도 개략적으로 설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정부 소식통은 “지난해 말 북한측이 구두로 핵 신고서와 관련된 자신들의 생각을 전한 바 있으나 미국은 내용 자체가 상세하지 않아 경청하지 않았던 것으로 안다”고 연합뉴스는 밝혔다.
이 소식통은 “플루토늄 총량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영변 원자로의 가동일지 등을 확보해 분석하면 된다”면서 “검증과정에서 상당한 시간이 걸리는 만큼 북한이 제출한 신고서 내용이 충분히 신뢰할 만한 것이면 검증도 그만큼 수월해지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핵탄두 개수를 알게 되고 여기에 얼마만큼의 플루토늄이 쓰였는지를 파악하면 북한의 핵 실험 과정은 물론 핵개발 수준에 대해 분석할 수 있을 것”이라고 소식통은 덧붙였다.
미국은 ‘싱가포르 미북 회동’의 결과에 대해 자국 내 비판적 의견이 제기됨에 북한의 우라늄농축프로그램(UEP) 및 시리아와의 핵 협력의혹 등에 대해서도 ▲그동안 제기된 주요 증거에 대한 명확한 해명 ▲향후 우라늄농축 활동과 해외 이전을 하지 않는다는 약속 등을 분명히 하는 문제를 북한과 협의할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와 관련, 일본의 도쿄(東京)신문도 지난해 12월 크리스토퍼 힐 미국 국부무 차관보가 평양을 방문했던 당시 북한의 김계관 외무성 부상은 북한의 플루토늄 생산량은 30kg이며, 핵개발에 약 18kg, 2006년 10월 지하 핵실험에서 약 6kg을 각각 사용한 것으로 힐 차관보에게 설명했다고 21일 보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