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식량 실태 조사를 위해 방북한 미국 로버트 킹 인권담당특사가 평양을 떠났다고 조선중앙통신이 28일 밝혔다.
조선중앙통신은 “조미 사이의 인도주의 문제를 협의하기 위해 조선을 방문했던 인권 및 인도주의 문제담당 특사 로버트 킹을 단장으로 하는 미 국무부 대표단이 귀국했다”고 전했다. 중앙통신은 킹 특사의 요청에 따라 전날 석방키로 발표한 한국계 미국인 전용수 씨가 함께 출국했는지는 언급하지 않았다.
이날 베이징에 도착한 킹 특사는 기자들에게 “북한 외무성 관계자들과 여러 가지 문제를 갖고 논의했다”면서도 “식량과 관련해서는 어떤 협상이나 합의도 없었다”고 강조했다.
킹 특사는 북한에서의 논의 내용을 곧 워싱턴에 보고하게 될 것이라며 일부 식량 수요 평가팀은 다음주까지 북한에서 활동을 계속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24일 방북한 킹 특사가 이끄는 방북팀은 북한의 식량 수요 평가를 위한 현장조사를 벌였다. 미국은 이 조사결과를 토대로 대북 식량지원 재개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 북한의 식량 수요 평가를 위한 조사단은 킹 특사의 귀국 이후에도 당분간 북한에 머물 예정이다
한편, 미국에 이어 유럽연합(EU)이 다음달 초 북한에 식량평가팀을 파견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EU 평가팀은 북한이 지난 2008년 5월 철수시킨 바 있는 인도지원사무국(ECHO) 직원들로 구성되며 미국 평가팀이 조사활동을 완료한 후인 다음달 초 방북할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 소식통은 29일 “미국의 식량조사 활동이 다음주 중으로 마무리되는데 이어 EU도 곧바로 평가팀을 보낼 예정”이라면서 “지금은 북한의 식량사정에 대한 국제사회의 평가가 진행중인 단계이며 식량지원을 본격적으로 논의하는 단계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미국에 이어 EU의 평가단의 조사활동이 마무리 되는 시점에 대북 식량지원 여부가 결정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EU 평가단의 조사가 마무리되는 다음달 이후에나 미국의 식량지원 검토가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
미국의 대북 식량지원은 한국 정부와의 협의가 필수적이다. 그러나 미국 정부가 내부 식량사정 모니터 뿐만 아니라 다양한 경로를 통해 북한 식량난 실체 파악에 나선 정황이 파악된 이상 NGO나 국제기구를 통한 제한적인 지원이 이뤄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중국 방문에서 기대한 소득을 올리지 못한 북한이 남북관계 전환을 통해 경제 지원 요구라는 카드도 가능성이 없지 않지만 내년 대선 등 워낙 복잡한 변수가 많아 쉽지는 않을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