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은 10일 최근 북미간 뉴욕접촉에서 북한이 위폐문제 해결을 위한 합동 협의기구 설치를 제안한 데 대해 거부했다.
미국은 그러나 작년 9월 북핵 6자회담 공동성명 내용을 상기시키며 6자회담이 재개될 경우 그 틀내에서 위폐문제를 논의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
미 국무부 관계자는 이날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우리(미국) 금융제도를 보호하기 위한 규제와 사법적 조치는 협상의 대상이 아니다”면서 “미국은 미국법에 따라 적합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금융시스템에 대한 규제를 계속해 나갈 것”이라고 말해 북한의 제안을 일축했다.
앞서 북한은 지난 7일 뉴욕접촉에서 ▲위폐문제에 대한 정보교환 및 불법활동 대응조치 마련 등을 위한 합동 협의기구 설치 ▲미국의 대북금융제재 해제 ▲미국 은행시스템을 통한 북한의 거래 허용 ▲위조지폐 감식을 위한 미국의 기술지원 등 4가지를 미국측에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관계자는 그러나 “우리는 작년 9월 채택된 북핵 6자회담 공동성명에서 비핵화 논의과정에 무역과 투자협력, 북미간 관계정상화를 위한 조치 등 광범위한 문제에 대해서도 협의키로 합의했다”고 거듭 강조, 6자회담이 재개될 경우 그 틀내에서 금융제재 문제를 논의할 수 있음을 내비쳤다.
이 관계자는 “북한이 6자회담에 복귀해서 공동성명을 이행할 것을 촉구한다”면서 “우리(미국)는 전제조건없이 회담에 복귀할 준비가 돼 있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북한은 미국이 금융제재를 해제하지 않으면 6자회담을 재개할 수 없다는 입장이어서 6자회담 재개 및 위폐 문제는 당분간 접점을 찾지 못한 채 북미간 샅바싸움만 계속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워싱턴=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