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은 중국이 제의한 한반도 비핵화에 관한 6자회담 합의문 초안에 우라늄농축 포기를 포함시키려 했으나 북한의 반발로 삭제에 동의했다고 회담 소식통이 18일 밝혔다.
교도통신은 이는 핵심사안에서 양보하더라도 합의를 우선하려 한 미국의 입장을 보여주는 것이라면서 2002년에 불거진 이 문제가 초기이행조치 완료 후 다시 제기될 것으로 예상했다.
소식통에 따르면 한국과 미국, 러시아 등은 회담 4일째인 11일 북한이 영변 핵시설 가동을 중지하면 중유 30만t을 제공하고 모든 핵 포기가 완료된 후 70만t을 추가 제공키로 합의했다.
그러나 북한은 핵포기 이전 중유 100만t 제공을 요구하며 이 안을 거부했다.
그러자 이번에는 미국 주도로 포기대상에 “고농축우라늄을 이용한 핵개발”을 명시한 2차안을 마련해 회람했지만 북한은 “우라늄 농축은 평화적 목적으로도 한 적이 없다”며 재차 거부했다.
이후 콘돌리자 라이스 미국 국무장관이 12일 밤 송민순 외교통상부 장관과 전화로 회담한 후 “고농축우라늄”에 관한 문구를 삭제하고 북한이 영변 등 플루토늄 관련 기존 핵시설 불능화에 응하면 중유 100만t 상당의 경제, 에너지 및 인도적 지원을 하기로 합의, 중국, 러시아, 일본의 동의를 얻어 북한에 제시, 13일 합의문을 채택하게 됐다고 소식통은 전했다.
라이스 장관은 합의문 발표 후 기자회견에서 합의문에 명시돼 있지는 않지만 고농축 우라늄은 비핵화과정에서 폐기돼야 한다고 말했다./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