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24일(현지시간) 북한 인권특사에 로버트 킹 전 하원 외교위원장 비서실장을 지명했다고 백악관이 밝혔다.
킹 전 실장은 지난해 2월 톰 랜토스 하원 외교위원장이 사망할 때까지 25년간 그를 보좌했으며, 2004년 미 행정부의 북한인권특사 신설을 의무화한 북한인권법이 입안될 때 이 일과 연관된 업무를 맡았다.
킹 지명자가 공식 임명된 이후 오바마 행정부의 대북인권정책도 본궤도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미국 정부는 이번 특사의 지명으로 북한인권 문제를 부각시키고, 북핵 문제와 별도로 인권 정책을 추진한다는 의지를 과시한 것으로 보인다.
로베르타 코헨 브루킹스 연구소 선임연구원은 지난 7월 킹 전 실장에 대해 “신임 특사는 민간 자문회사의 변호사 일을 계속하면서 임시직으로 일했던 레프코위츠 전 특사와는 달리 대사급에 상근직인만큼 오바마 행정부의 대북 인권정책에서 실질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라고 말한 바 있다.
특히 “국무부와 의회가 모두 북한인권특사직이 중요하다는 데 의견의 일치를 보이고 있다”면서 “앞으로는 북한인권특사가 전반적인 대북정책 수행에서 국무부, 의회 등과 조율을 원만하게 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됐다”고 강조했다.
한편 ‘북한인권법’에 따라 신설된 북한인권특사는 2005년 8월 19일 부시 전 대통령이 임명한 제이 레프코위츠 특사가 지난 1월 20일 오바마 행정부의 출범에 때맞춰 사임한 후 5개월이 넘도록 인선이 이뤄지지 않아 특사직의 공백이 장기화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꾸준히 제기돼왔다.